매일신문

경제청문회 협상 난항

경제청문회 개최방안을 둘러싼 여야간 협상이 표류를 거듭하고 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지난 18일, 조사특위 구성안이 국회본회의에서 의결됐어야 하나 양측의 이견이 팽팽히 맞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 이날 열릴 예정이었던 3당 수석부총무회담도 한나라당측이 특위위원의 여·야 동수 구성 등을 거듭 요구하며 불참하는바람에 무산돼버렸다.

3당은 19일, 중앙당사에서 각각 당3역회의와 당무회의 등을 갖고 청문회 개최문제를 거듭 논의했으나 종래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타결의 조짐은 좀체 감지되지 않고 있다.이같은 상황에서 여권은 협상이 난항을 계속할 경우 오는 23일쯤 특위구성안의 본회의 제출을 여당단독으로 강행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위 구성과 관련해 국민회의는 최근 여당측에서 한 명을 양보, 무소속에 배정함으로써 여야간10대 10의 동수로 하는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한나라당측이 "무소속은 의미가 없다"며 거부해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국회 관례대로 여야동수로 하든지 위원장을 한나라당이 맡아야 한다는것이다. 당초 여권안은 의석비율을 근거로 국민회의 7 대 자민련 4 대 한나라당 9였다.이처럼 절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는 청문회 운영에 대한 양측간의 현격한 시각차가 자리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청문회 명칭을 놓고 여권'IMF환란원인 규명과 국가경제파탄 진상조사특위'를 제시하고 있는 반면 한나라당은 'IMF경제위기진상조사특위'로 맞서고 있는데서도 엿보인다. 여권이 YS정권의 책임을 최대한 부각시키려 하는 반면 한나라당은 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현 정부측 책임도제기하겠다는 계산이 자리해 있다. 같은 맥락에서 청문회 기간과 YS부자(父子)의 증인채택 등의쟁점을 놓고도 제자리 걸음만 계속하고 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