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일신학원이 분석한 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에 따르면 올 수능성적이 지난해보다 평균 27.8점이나 올라 예상대로 쉬웠던 것으로 분석됐다.
상위 50%이상 평균점수는 무려 29.4점이나 상승, 수능시험의 변별력이 떨어져 영역별 가중치, 논술, 면접 등 다른 전형 요소가 당락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평균점수는 자연계가 인문계보다, 재수생이 재학생보다,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았다. 단 상위 50% 집단에서는 남학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득점 경향
전체 평균성적은 240.3점(1백점만점 환산 60.1점)으로 98학년도 212.5점(53.1점)보다 27.8점(7점) 높았다. 영역별 평균점수는 언어 120점 만점에 84.7점(70.6점), 수리탐구Ⅰ 80점만점에 32.3점(40.4점), 수탐Ⅱ 중 과학탐구의 인문계는 48점 만점에 27.6점(57.4점), 자연계는 72점만점에 43.5점(63.2점), 예.체능계는 48점 만점에 23.2점(48.2점), 수탐Ⅱ의 사회탐구에서 인문은 72점 만점에 47.2점(65.6점), 자연계는 48점 만점에 31.3점(65.3점), 예체능계는 72점 만점에 41.7점(57.9점), 외국어는 80점 만점에 48.7점(60.9점)으로 지난해보다 전 영역에서 2.1(2.7점)~11.7점(16.4점)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상위 50% 집단의 평균점수는 300.4점(75.1점)으로 지난해 보다 29.4점(7.4점) 높아 출제원칙에서제시한 난이도 목표 수준(상위 50% 집단의 평균점 60~70점)을 넘어섰다.
▲성적급간 도수분포
응시자가 몰려있는 정도를 보여주는 성적급간별 도수백분율 분포를 보면예.체능계는 좌우대칭형으로 고르게 분포된 반면 인문.자연계 경우 중.상위권이 중위권 보다 많은'낙타형'모양을 보였다.
이는 이번 시험이 대체로 쉬워 중위권이 대거 중.상위권으로 이동, 층이두터워졌고 동점자가 양상됨으로써 치열한 눈치경쟁이 예상될 것임을 예고한다. 특히 상위 10%집단의 점수 차이가 지난해 평균 88점이었으나 올해는 인문계 66점, 자연계 55점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동점자가 많아져 각 학교마다 진학지도에 큰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영역.성별 득점상황
전체 응시자의 계열별 평균점수는 인문계 238.8점(59.7점), 자연계 250.7점(62.7점), 예.체능계 208.5점(52.1점)으로 자연계가 인문계 보다 11.9점(3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지난해와 달리 자연계 수험생들이 인문계로 지원하는 경향이 두드러 질 것으로 보인다. 영역별로는 사회탐구에서 인문계가 자연계 수험생 보다 15.9점 높았으나 언어(1점), 수탐Ⅰ(6.7점), 과학탐구(17.9점), 외국어(2.2점)에서는 자연계가 앞섰다.
전체 영역 응시자의 성별 평균점수는 남자 238.8점(59.7점), 여자 242.1점(60.5점)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3.3점(0.8점) 높고, 상위 50% 집단에서는 남자가 여자 보다 5.3점(2.3점) 더 높은 것으로 추계됐다. 영역.성별 평균점수는 언어.사회탐구.외국어에서는 여자가 0.8점~3.1점 높으나 수탐Ⅰ과 과학탐구영역에서는 남자가 1.9~3.1점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재학생과 졸업생 득점상황
지난 3년 연속 재학생이 재수생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이번에는 재수생이 242.7점으로 재학생(239.8점)보다 2.9점 높았다. 특히 남자 재수생 (245점)은 재학생(236.6점)보다 8.4점이나 높게 나타난 반면 여자는 재학생(243.2점)이 재수생(239.5점)을 4.3점 앞섰다. 이는 수능시험이 쉽게 출제될 것이란 기대에 재수를 택한 수험생이 많았고 비교내신제 폐지에 불만을 느낀 특수목적고 학생들이 대거 자퇴해 수능시험에 응시한 영향때문이다.
▲표준점수가 변수
원점수가 같더라도 표준점수에 따라 순위가 바뀔수 있다. 표준점수를 활용하는 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 경북대 등 62개 대학. 표준점수란 수험생이 얻은 점수가 전체 학생들의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 지를 따지는 환산점수이다.
이번 시험에서 원점수 390점 이상은 4백51명이나 변환표준점수에서는 390점 이상이 8백89명, 원점수 380점 이상은4천2백49명이나 변환표준점수에서는 9천7백3명, 원점수 360점 이상은 2만7천7백87명이나 변환표준점수에서는 6만7백21명으로 변환표준점수로 할 경우 원점수 보다 점수대별로 인원이 2~3배나된다.
이는 원점수로도 두터운 고득점층이 표준점수로 환산하면 더욱 두터워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표준점수로 환산했을 경우 점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즉 상대적으로 어려웠던 수탐Ⅰ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수험생이 표준점수를 활용하는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배치기준표상의 변환표준점수는 대학별 표준점수의 활용방법이 달라 절대적 기준이 아니다. 경북대의 경우 영역별 가중치를 두고 있어 인문계 수험생은 외국어 점수가 높은 것이 자연계는 수탐Ⅰ에 높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이 전형에서 유리하다.
서울대 정시의 경우 언어.수탐Ⅰ.외국어영역은 원점수를, 수탐Ⅱ에는 대학 자체 환산방식으로 산출한 표준점수를 적용한다. 고려대 경우 인문은 외국어, 자연은 수탐Ⅰ에 가중치를 둔다. 중앙대는 인문.예체능의 경우 수탐Ⅱ의 사회탐구에, 자연은 수탐Ⅱ의 과학탐구에만 표준점수를 반영한다.
▲채점위원회의 견해
이번 수능시험은 학교에서의 정규 학습활동만으로도 좋은 성적을 얻을 수있고 제6차 교육과정의 기본정신과 정부의 교육개혁방향에 부응했다. 수험생들의 학습부담을 최소화하자는 출제 취지에 맞게 평이하게 출제한 것이다. 수능시험이 계속 평이하게 출제되면서 통합교과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사고력을 측정한다면 고교교육을 정상화시키고 과열 과외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金敎榮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