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성경제연구소 올10대 경제흐름 예측보고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7천300달러선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이와 함께 공공부문이 개혁되면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며 경제난과 구조조정의 피해자들에 의한집단이해가 표출되면서 사회불안요인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일 올해의 경제흐름을 예측하는 '99년 국내 트렌드 10'이라는 보고서를 냈다.다음은 보고서내용의 요지.

◆ 완만한 경기회복

제조업가동률이 완만하게 상승하고 건설경기회복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1.5%를 기록할 전망이다.올해 GDP는 93년 수준인 3천452억달러, 1인당 국민소득도 7천376달러에 머물 것이다. 특히 1·4분기 신규대졸자 발생과 구조조정의 여파로 실업률이 한때 10%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 금융개혁 가속

정부주도의 금융구조조정이 마무리되면서 민간에 의한 책임경영체제가 모색된다. 또한 금융시장이 정부의 지원과 통제가 약화되고 경쟁체제로 바뀜에 따라 내실위주 등으로 경영형태의 변화가발생할 것이다.

◆ 대기업의 탈바꿈

강도높은 구조개혁으로 그룹형태의 대기업 경영체제는 유지되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의사결정방식이 그룹차원 자원배분에서 개별기업 수익성 중심으로 급속하게 변화될 것이다.

◆ 무너지는 조직 경계

기업구조조정과 맞물려 분사와 아웃소싱이 확산된다. 본사의 슬림화, 의사결정의 스피드 제고,분사기업의 인력·경비절감 등으로 산업전반의 경쟁력이 제고될 것으로 보인다.

◆ 자산유동화의 진전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자산매각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산유동화현상이 가속화할 것이다.

◆ 외국기업의 득세와 변화주도

외국인 투자여건의 개선과 정부·기업의 외자유치노력에 힘입어 외국기업의 국내진출이 가속화된다.

◆ 공공부문 개혁의 진통

정부가 금융, 기업, 노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연되고 있는 공공부문의 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그러나 정치권 대립과 이해관계자들의 반발로 핵심개혁과제들의 실천이 지연되고 일부 건수위주로 과시형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 집단이해의 표출과 사회갈등

경제난과 구조조정으로 피해를 입게된 당사자들의 반발이 증가, 각종 불만이 늘어나고 정부와사법, 교육, 세정 등 그동안 변화의 사각지대에 대한 개혁이 진행될 예정이어서 기득권층의 반발도 예상된다.

◆ 지식산업의 발아

대규모 장치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지식기반 위주로 바꾸려는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면서 벤처기업과 지식인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다.

◆ 남북경협 확대와 북한의 개방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완화되면서 경제협력여건이 상당폭 개선될 것이다. 따라서 남북경협이그동안의 단순교역에서 투자중심으로 한단계 도약하는 원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