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3곳의 재.보선에 정치권의 관심이 온통 쏠려있는 가운데 국민회의와 자민련간의 합당 논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어 주목된다. 합당에 반대하는 자민련 측의 공식적인 방침 때문인 듯 이같은 논의는 물밑에서 조심스레 추진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물론 국민회의 측이 적극적이다. 국민회의의 한 당직자는 30일"김영배(金令培)부총재 등이 최근 자민련측 고위 인사들과 잇따라 접촉, 합당문제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젊은층 수혈론'으로 합당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설훈(薛勳)의원등 당내 동교동계 핵심인사들은 이미 올초부터 합당 불가피론에 불을 지펴 왔다. 결국 합당을 통해 연내 내각제개헌을 요구하는 자민련 측을 무력화시키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물론 공동정권이란 한계속에 거듭돼 온 양당 간의 정책 혼선문제 등도 합당론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금같은 체제가 계속될 경우 내년봄 총선은 양당간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젊은층 영입을 통한 정계개편의 성사를 위해서는 야당측 후보에 비해 경쟁력이 약한 이들을 합당을 통해 여당 단일후보로 내세워야 한다는 논리도 있다.
국민회의 측이 최근 5월 전당대회를 연기한 것에 대해서도 이를 위한 시간벌기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김대통령이 최근 2~3개월만 기다리면 정리될 것이라고 밝힌 데서도 엿보인다.
자민련에선 비주류 측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 의원들의 경우 현재와 같은 구도로 총선이 치러질 경우 매우 불리할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한영수(韓英洙)부총재도 "우리당 의원중 3분 2가 나와 같은 생각"이라고 주장한 뒤 "현재의 여야 구도로 내년 총선을 치르면 자민련은 원내 교섭단체도 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합당론을 개진했다.
주목되는 것은 박태준(朴泰俊)총재도 최근들어 이같은 목소리에 관심을 보이는 등 내달부터 내각제 공세를 강화하겠다는 당 방침에도 불구, 자민련에서 합당론이 일정한 세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박총재는 최근 사석에서 "현 상태론 정국을 제대로 돌파할 수 없다"며 "개헌을 미루고 국민회의와 합치는 등의 방안을 숙고해야 할 것 같다"고 털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