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앙회 명칭이 새변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협동조합 통폐합을 놓고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그러나 축협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농림부는 공청회와 입법예고, 국회 상정 등 예정과업을 통한 농협과 축협·임협·인삼협의 조속한 통합 방침을 재확인해 조만간 통합 입법의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농협중앙회 정대근(鄭大根)회장과 축협중앙회 박순용(朴順龍)회장은 당초 29일 농림부 기자실에서 '대통합'과 관련한 합의문을 공동 발표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이날 농림부에는 농협측의 이내수(李來秀) 부회장과 손은남(孫殷男) 상무만이 나타나 "축협과의 협상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농협측의 협상 대표로 나섰던 손상무는 "25일 축협 대표와 만나 7개항의 합의문초안을 작성한뒤 26일 농협 정회장과 축협 박회장이 조찬회담을 거쳐 농림부에서 합의문에 서명하기로 했으나 이날 안성에서 열린 축협 단위조합장 대회 여파로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당초 합의문 초안은 "대통합 원칙에는 의견을 같이 하고 축협의 독립성을 보장하며 통합중앙회 명칭은 추후 논의하자"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 이 초안에는 △통합협동조합중앙회는 1개 법인체로 하고 △축산부문은 경제·유통사업에서 전문화시켜 대표이사를 두며 △부실채권 정리과정에서 정부지원을 요청하고 △통합조합의 명칭은 앞으로 구성될 통합추진실무위원회에서 조정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중앙회 명칭에 대해 농림부측은 '농축협중앙회' 수용을 검토하고 있으나 농협측은 이에 극구 반대하고 있어 통합 협상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농협의 손상무는 "브랜드 가치가 10조원에 달하는 농협의 간판과 통장 이름 등을 바꾸는데만 2천억원 이상 든다"면서 "통합조합도 신법 제정이 아니라 현행 농협법 개정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명칭변경에 반대했다.

농협 노조 역시 명칭 변경을 막기 위해 각 도지부 대표 10명으로 28일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고 손상무는 밝혔다.

축협 노조와 단위조합장들은 통합 자체에 대한 반대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가운데 일간신문에 잇따라 '협동조합 통합 저지를 위한 결의문' 광고를 내고 있다.

농림부는 이에 대해 협동조합 통합의 당위성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로 29일부터 맞받아치기 시작해 농림부와 축협간의 광고전으로 비화되고 있다.

농림부 고위관계자는 "축협과 농협의 통합 협상이 결렸됐으나 내용면에서 양측 회장간에 '선 대통합 후 부실 단위조합 정리'라는 합의정신이 유효한 것으로 본다"면서 "통합에 찬성하는 대다수 국민과 농민 여론에 따라 조속한 시일내 공청회를 거쳐 법제화 작업을 마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