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고 있던 국민 3명중 1명이 외환위기 이후 하류층으로 전락했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중산층에서 벗어났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중 79.2%는 3년이내에 중산층 복귀가 힘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전국의 기혼남녀 99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환위기 이전에는 중산층이었으나 지금은 하류층'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전체 응답자의 19.7%나 됐다.
또한 '외환위기 이전이나 지금이나 중산층'이라고 답한 경우는 41.4%인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외환위기 이전 중산층이라고 답한 61.1%중 3분의 1이 하류층으로 전락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외환위기 이전이나 지금이나 상류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0.6%였으며 이어 △ 외환위기 이전이나 지금이나 하류층 34.3% △ 외환위기 이전에는 상류층이었으나 지금은 중산층 3.7% 등이었다.
중산층에서 하류층으로 전락한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50.6%가 소득감소를 들었고 이어 실직(12.3%), 미래에 대한 불안(9%), 부채증가(8.7%), 자산가치 하락(8.7%)등 순이었다.
또한 이들은 중산층으로의 복귀시기에 대해 3년 이후로 답한 경우가 전체의 79.2%나 돼 중산층으로 회복되는데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구체적으로는 3, 4년후가 전체의 37.8%로 가장 많았고 이어 △ 5년 이상 21.3%△ 10년 이상 또는 복귀불가능 20.2% △ 1, 2년후 19.7% △ 금년내 1.1% 등이었다.연구원은 그러나 지난해 6월 같은 조사에서는 외환위기 이전에는 중산층이었으나 지금은 하류층이라고 답한 비율이 20.4%였는데 비해 이번에는 19.7%로 다소 줄어 중산층 붕괴현상이 추가로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최근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는데다 주식 등 자산가치의 상승과 대출이자의 하락 등 지표경기의 회복세가 일반가계의 체감경기 회복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중산층은 자동차와 주택 등 내구재 소비의 중심축을 이루고있는데다 양질의 노동력을 공급해 경제성장의 주원동력으로 기능을 하는 등 사회안정의 버팀목이 되고 있다"며 "그러나 이미 상당부분 해체된데다 빠른 시일내에 재구축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된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