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소보 평화안 원칙 합의

서방선진 7개국(G7)과 러시아 등 G8 외무장관들은 6일 코소보사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7개 원칙에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처음으로 러시아가 참여한 가운데, 6주째 계속되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유고 공습과 난민발생 등 파국으로 치닫던 코소보 사태를 평화적으로 수습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8개국 외무장관들은 유고에 대한 공습 중단과 코소보에 주둔할 평화유지군의 구성 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했다.

또 G8 외무장관의 합의안에 대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유고 대통령은 나토측이 먼저 공습을 중단해야 정치적 해결모색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혀 앞으로도 난관이 예상된다.

외무장관들은 이날 독일 본 인근 쾨니히스빈터의 영빈관에서 열린 회담에서 세르비아 병력의 코소보 철수후 유엔의 승인하에 평화유지군(KFOR)을 배치하는 등 코소보 평화회복을 위한 일련의 공동원칙들을 채택했다.

그러나 성명은 '국제 민간.치안병력'으로 명명된 평화유지군에 나토가 참여할 것인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때맞춰 독일을 방문중인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코소보 평화군은 나토가 주도하고 러시아가 참여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으나 러시아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앞서 열린 별도의 미-러시아 외무장관회담에서 올브라이트 장관은 나토를 성명에 포함시키지 않겠다고 양보했고 이고르 이바노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코소보에 민간요원만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G8은 그러나 이 공동원칙들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형태로 전환하기 위해 협상을 계속해나갈 방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