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건설사 구조조정 회의

지역 건설업체들이 현행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방식이 기업 회생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며 이의 시정을 요구하고 있다.

우방·화성·서한 등 지역 워크아웃 기업들은 6일 서울 기업구조조정위원회에서 열린 건설업체 채권은행단 회의에 프로젝트 파이낸싱, 이연 결산 제도 도입 등 워크아웃 방식 개선을 건의했다.

지역업체들은 현행 워크아웃 양해각서에 따라 부동산을 매각할 경우 거래가격이 매입가(장부가)보다 턱없이 낮아 기업 부채를 늘리는 결과를 빚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부동산 매각으로 손실이 발생하면 자격요건 미달 등으로 관급공사 참여에 불이익을 받게 돼 기업회생 작업을 역행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여기에다 채권은행단이 신규 사업 자금 지원을 제한, 사업 부진 여파로 재무구조 개선이 안되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업체들이 신규 사업에 나설 수 있도록 은행이 사업장별로 금융지원을 해주고 사업 종료 시점에 이를 환수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 제도를 도입해 줄 것을 건의했다. 또 관급공사 입찰시 98년 결손분을 일시에 반영하지 않고 연차적으로 적용하는 이연 결산제를 통해 워크아웃 기업의 관급공사 참여 길을 터줄 것을 요청했다.

지역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현행 워크아웃 방식이 업종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기업 회생에만 초점을 맞춰 오히려 회생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건설업체 워크아웃 전반에 관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역 일각에서는 채권은행단과 합의를 통해 이행 계획서를 세웠던 워크아웃 기업들이 자구노력에 적극 나서지 않은 채 경영압박 원인을 금융기관에 떠넘긴다는 부정적 견해를 보이기도 했다.

〈全桂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