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이후 가격인상을 자제하면서 중저가제품 판매에 주력하던 유통업체들이 올들어 소비심리가 회복되자 고급제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청바지 전문업체인 게스는 지난해까지만해도 8만원대 이하 제품판매에 주력했으나 지난 3월 기존 가격보다 4만~5만원 비싼 11만~12만원대의 고가 청바지 '프리미엄진'을 내놓으며 고가시장 공략에 나섰다.
또 앤클라인, 마인 등 주요 의류브랜드들도 20만~30만원대 이상의 고급의류 판매비중을 늘리고 있다.
가전제품의 경우도 단순기능의 중저가품에서 다기능 대용량의 고가품 위주로 판매패턴이 바뀌고 있다. 삼성전자는 753L 지펠냉장고와 43인치 파브TV, LG전자는 730L 디오스냉장고 등 기존 제품가격의 2, 3배에 달하는 고가품을 올해 주력상품으로 출시했다.
동아쇼핑 가전매장의 경우 이들 250만원대 이상의 고가냉장고 판매고가 전체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식품업체도 기존 제품보다 값이 20~30% 비싼 고급제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농심은 콩기름을 사용한 콩라면, 해표는 요구르트가 함유된 요고네즈, 매일유업은 1천㎖ 1등급 우유를 차별화 상품으로 내놨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