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가 당 8역 전원 사퇴란 충격속에 전당대회 개최시기를 놓고 또 다시 고민에 빠져 있다. 예정대로 8월에 치르느냐, 아니면 연말로 미뤄야 하는가 이다.
이는 내각제 개헌과 정치권 개혁 등 정국 현안과 맞물려 있으며 특히 총재권한대행으로 누구를 앉히느냐는 문제와 밀접히 관련돼 있다.
우선 12월로 연기해야 한다는 입장. 정국 대치가 계속되고 있는 데다 내각제 등 현안들이 답보상태에 빠진 가운데 한달여 뒤 전당대회를 치른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보고 있다. 즉 정국현안 등을 마무리 짓고 난 뒤 내년 총선을 대비, 전국정당화로 발돋움하기 위한 행사로 치르려 했던 당초 구상이 어렵게 됐다는 지적이다. 현재 분위기는 이 쪽으로 쏠리고 있다.
때문에 전대 연기설은 우선적으로'실세형 대행'을 상정하게 된다. 한광옥.이종찬 부총재와 한화갑총재특보단장 등이 거론된다. 힘이 실린 대행체제를 통해 개헌문제 등 각종 현안들을 강력히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논리다. 물론 전대 이후에도 대표 등으로 위상을 강화, 계속 자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일각에선 관리형 대행을 임명할 수도 있다는 시각이다. 이만섭상임고문, 조세형고문이나 장을병부총재 등이 꼽힌다. 이 경우 총장과 총무 등을 실세형으로 포진시키고 대행은 전대까지만 당을 떠맡는 역할로 축소된다.
8월 전대설 주장은 현행 총재권한대행을 대표 등으로 격상시키는 등 조기에 당 지도체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에서다. 2월까지 전대를 연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집권당의 상황이 심각한 수준에 처해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 내달까지 한시적으로 당을 관리하는 대행을 임명한 뒤 전대를 통해 대표체제 등을 발족시킴으로써 강력한 여당을 지향해야 한다는 논리다.
이의 연장선상에서 일단 8월에 전당대회를 치러 당 지도체제를 확정한 뒤 연말쯤 임시전대를 재소집, 총선을 앞둔 당 체제를 본격 가동시킨다는 설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