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로에 선 정보통신 주권

세계적 소프트웨어 업체인 MS(마이크로소프트)사가 최근 지역 대학들을 대상으로 파격적인 판매 조건을 제시하며 MS사 특유의 방식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용해줄 것을 요구, 교권침해 논란과 함께 '정보통신 주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전문대 이상 교육기관이 MS사가 추진 중인 AATP(공인 대학교육프로그램) 방식으로 교육을 실시할 경우 관련 소프트웨어 1매 구입시 100매까지를 복제, 사용권을 부여하되 사용자는 MS사 제품사용법을 정규과목으로 채택해야 하며 강의계획서 제출은 물론 수강학생수, 교수명, 학점 등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결과 보고서를 MS사에 제출해야 한다는 것.

특히 오는 9월부터 불법 소프트웨어 단속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여 가뜩이나 소프트 웨어 정품 구입 부담으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지역 대학들은 MS사가 판매공세를 펼치자 선뜻 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MS사가 각 대학에 발송한 AATP 안내서에 따르면 전산 관련 학과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과정에서는 MS 윈도즈 NT, SQL 서버 등 자사 제품 관련 강의를 필수적으로 개설하게 돼 있다.

경북대의 경우 지난 3월 AATP를 운영하기로 MS사와 계약을 마치고 전산학개론 등 60여개의 전공 및 필수 과정에 이를 운영하고 있으며 MS 소프트웨어를 1년 기한으로 싼값에 사용할 수 있는 CA(Campus Agreement) 계약도 추진하고 있다.

영남대와 계명대도 지난달 MS사와 계약을 체결, 오는 2학기 학사일정에 AATP를 반영하게되며 효성가톨릭대는 MS사에 운영 계획서를 내놓은 상태다.

전문가들은 MS사가 이같은 판매방식을 추진하는 이유는 국내 업체를 견제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사회진출을 앞두고 있는 학생들이 자사 제품에 적응토록 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지역 대학의 한 전산 관계자는 "학내 전산실 등에 깔려있는 불법 소프트웨어를 단기간에 정품으로 바꾸려면 경비가 지나치게 많이 들어 MS사의 판매조건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李宗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