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에서 인간의 정상세포를 유전자 조작을 통해 암세포로 전환시키는 실험이 사상최초로 성공을 거둠으로써 암 치료제 개발을 가속시킬수 있는 돌파구가 열렸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화이트헤드 생의학연구소의 로버트 와인버그 박사는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세포를 무한증식시키는 두가지의 결함유전자와 촉매를 이용, 인간의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전환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와인버그 박사는 먼저 세포를 무한증식시키는 RAS라고 불리는 결함유전자를 정상세포에 주입하고 이어 두 종류의 종양억제 단백질을 무력화시키는 또다른 결함유전자를 투입한 다음 여기에 세포를 무한증식시키는 텔로메라제 촉매를 첨가한 결과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종양억제인자를 원상회복시킨다든가 텔로메라제 촉매를 차단한다든가 하는 여러가지 형태의 새로운 항암제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와인버그 박사는 말했다.
와인버그 박사의 연구결과에 대해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인간발암연구실장 커트 해리스 박사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의 모세 야니브 박사는 "획기적인" 업적이라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