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이 환경보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철새서식지인 습지 보전 등에 적극적인 행정을 펼치고 있다. (사진은 모래채취로 하반부의 대부분이 없어진 달성 습지)
대통령의 발언으로 동강댐 건설이 원점에서 재검토 되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들도 개발보다는 환경보전쪽으로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 주요 철새도래지인 낙동강 달성습지를 둘러싸고 그간 모래 채취 사업을 벌여오던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습지보호에 나서기로 했는가 하면 인근 낙동강과 금호강의 하천개발 추진사업을 백지화해 환경보호단체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달성군에 낙동강변에서 이뤄지고 있는 모래채취 허가를 시한이 만료되는 오는 9월 이후 더 이상 연장해주지 않도록 공식 요청, 군과 합의했으며 철새 서식을 저해하는 강변 비닐하우스 지역 8천여평에 대해서도 철거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 대구시 달서구청은 강창교~낙동강 합류점 4.48km 구간 하천 둔치 27만평에 다목적 운동장, 야영장 등을 포함하는 '낙동강 환경생태공원' 조성 계획을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키로 했으나 최근 이를 전면 백지화하기로 했다.
낙동강 환경생태공원은 당초 생태보존 및 하천개발 명목으로 추진됐으나 이곳에 설치될 체육시설과 야영장, 하천정비사업 등이 환경을 훼손한다는 시민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난항을 겪어왔다.
달서구청은 흑두루미 등 철새를 부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목표로 인공 구조물 설치를 배제한 상태에서 자연생태교육장 및 휴식공간을 설치하고 환경훼손이 심한 곳에 한해 복구 차원에서 손을 댄다는 입장이다.
또 치수에 필요한 하천정비는 계속 실시키로 했으나 인도블록, 콘크리트 제방 등 인공물 설치를 가급적 억제하고 이달 중 학계 및 환경단체의 의견을 수렴, 기본 설계를 마칠 예정이다.
그러나 달성습지를 끼고있는 고령군은 재정손실을 이유로 낙동강 모래채취 사업을 그대로 하기로 해 습지보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류승원 회장은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지자체들이 습지보전에 전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다행"이라며 "주민들을 설득, 달성습지를 보전구역으로 지정하고 각계 전문가들을 모아 복원대책을 수립하는 등 후속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李宗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