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전, 한 친구가 나에게 핸드폰을 선물했다. 삐삐도 함께 였다. 그러나 나는 기쁘지 않았다. 나는 삐삐가 와도 그것을 체크하고, 저장하고, 지우는 기초적인 방식도 몰랐다. 내가 평생 기계치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다시 한번 나는 문명의 이기를 받아들일 준비가 안된 사람이라는 걸 확신할 수 밖에.
친구들이 내 번호를 알긴 하지만, 내가 삐삐를 받아본 건 열 번도 되지 않았다. 어쨌든 그럼에도 다달이 요금은 청구되었다. 6군데를 돌아 다녀서야 겨우 삐삐를 해지할 수 있게 되자, 문득 나에게서 사슬이 풀리는 것 같은 즐거운 해방감이 밀려 왔다. 사람들은 뭘 그렇게 가져야 하지? 왜 이렇게 무장을 하면서 살아야해? 난 삐삐 하나 해지한 것만으로도 무장할 것이 없으니 죄를 지을 것 같지도 않은 무구한 마음이 되었다.
언젠가 산울림극장에서 공연할 때 강변도로에서 갇혀버린 적이 있었다. 공연 중엔 나는 언제나 공연시간 4시간 전에 집에서 떠나지만, 그 날은 모든 게 허사가 되고 말았다. 그때 처음으로 핸드폰 생각이 간절했다. 나는 차를 멈추고 누구 핸드폰 없냐고 소리치고 싶었다. 극장에선 내가 이렇게 길이 막혀 못 가는 것도 모를텐데.
핸드폰을 지금까지 가지고 있는 건 다시 그런 악몽이 닥칠까 두렵기 때문이다. 후배들은 그렇게 구형인 핸드폰을 보고 깔깔 웃는다. "선배님, 그거 가지고 계세요. 이제는 그거 가지고 있는 사람도 없어요" 하긴 요즘 나도 이렇게 큰 핸드폰을 보진 못했다. "이거 박물관 가야겠지?" 나도 웃음이 나왔다.
가끔, 한 손아귀에 딱 들어올 만큼 작고 가벼운 핸드폰으로 바꿔주겠다는 친구들도 있었다. 그러나 내가 이 구형 핸드폰을 버리면 또 하나의 즐거움을 잃게 되는 일이다. 하지만 난 생각한다. 내가 이 핸드폰을 잃어버리면 다시 핸드폰을 마련하게 되진 않겠지. 그럼 정말 모든 것으로 부터 해방될 수 있겠는데….
사람들은 나와 통화가 도대체 되지 않는다고 불평한다. 하긴 급하게 차에서 연락할 때 말고는 열어놓지 않으니까 그럴 수 밖에. 016이 뭔지, PCS가 뭔지, 아날로그가 뭔지, 디지털이 뭔지, 알고 싶지도 않고 일부러 바보인척 사는게 내 스타일이니까. 핸드폰을 두 개나 갖고 다니는 사람은 그가 얼마나 유능한지는 살펴볼 여지도 없이, 꼭 두 발에 족쇄를 채우고 쇳소리를 내며 감방복도를 걸어가고 있는 것 같잖아, 야유하면서 말이다.
하지만, 그렇게 이것도 몰라, 저것도 몰라, 하는게 무슨 커다란 미덕일까, 잠깐 반성하지만 여전히 나는 너무나 똑똑한 부류속에 끼고 싶지 않는 나를 발견한다. 문명화되지 않은 내 삶이 오히려 더 유익할지도 모른다고 굳이 나를 고무하면서. 연극배우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