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PC통신을 통해 알게 된 사람과 서로간에 필요한 물건을 교환한 적이 있다.
물건을 보내기 전에 칠곡에 있는 ㄱ화물사에 전화를 걸어 자전거를 서울까지 보낸다면 화물비가 얼마인지 물어 보았는데 5천원이라고 했다. 적당한 가격이어서 그 화물로 결정하고 착불로 하기로 약속했다.
그리고 며칠 후에 자전거를 찾으러 갔다. 그런데 직원이 내민 영수증엔 1만원이 적혀 있었고 하차비까지 1천원을 더 달라고 했다. 5천원이라고 하지 않았느냐 했더니 그것은 여기서 그곳으로 보내는 화물비이지 그곳에서 여기로 보내는 화물비가 아니다 라는 것이다. 착불일지라도 그곳에서 결정한 가격에 대해서는 이곳 권한이 아니기에 따를 수밖에 없다고 했다.
또 하차비에 대해서는 직원을 고용해서 하차를 하고 있고 다른 곳도 다 마찬가지로 그렇게 하고 있으니 그 문제는 어쩔 수 없다고 당연한 것처럼 말을 했다.
각 지역마다 화물비가 다르고 하차비를 받는 곳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는 곳이 있게 되면 그 내막을 모르고 이용했던 사람들은 손해를 보았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체계적인 물류가격이 없다면 그곳이 같은 상호를 내건 각 지역들의 개인 화물들이지 어찌 같은 회사의 시스템아래 있는 지점화물들 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김원동(대구시 북구 태전동)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