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공천권 행사를 놓고 한나라당 내 주류와 비주류의 힘겨루기가 가시화되고 있다. 한나라당 공천권 갈등은 영남지역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이회창(李會昌)총재 측이 일찌감치 "공천권을 나눠 갖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 귀추가 주목된다.
영남지역에서의 공천 지분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는 측은 합당시 지분 30%를 약속받은 바 있는 이기택(李基澤)고문과 김영삼(金泳三)전대통령, 대선후보 및 총재경선시 이총재를 지원한 김윤환의원 등. 당내 세력분포와 지역 지지도의 일정부분을 확보하고 있는 이들은 "총선 승리를 위해서도 당연한 일"이라는 입장이다.
이 고문은 8일 한나라당 부산 해운대·기장갑 지구당 당원단합대회에서 "내년 총선에서 구 민주당 몫의 합당지분 30%는 지켜져야 한다"고 공천권 행사에 간여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 고문의 발언에 대해 당내에서는 "부산·경남지역 민주동우회 회원들의 공천을 따내겠다는 의미"라고 풀이하고 있다.
김 전대통령 측은 이미 지난 2일 김광일 전 대통령비서실장을 통해 이총재 측과 공천문제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실장은 당시 "개인적인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혔으나 당 주변에서는 민주산악회 참여의사를 밝힌 인사를 비롯한 범 상도동계의 공천보장을 요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 경남의 경우 한나라당 공천에 자신의 지지를 확보하면 당선이 확실하다고 본 YS가 상도동 인사들의 공천을 받아 오라"고 지시한 것으로 점친다.
이총재 취임 후 1년여간 갈등을 빚어온 김윤환(金潤煥)전부총재도 "경북지역에서의 공천권 행사에 일정부분 몫이 있다"는 입장이다. 김 전부총재는 최근 들어 "총선을 앞두고 당의 단합이 필요하다"며 당내 입지를 넓히고 있다. 당내에서는 "김의원이 적극적으로 공천지분을 요구하지는 않겠지만 어떤 식으로든 자신의 주장을 전해 올 것"이라고 보고 있다. 비주류 측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이총재 측은 단호하다. "총재를 포함 어느 누구도 공천지분을 가질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게다가 하순봉 사무총장을 비롯 이총재 측근들은 사석에서 "공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당선가능성과 당에 대한 충성심"이라며 "객관적인 자료를 놓고 공천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혀 이총재 구도의 공천을 암시하고 있다. "공천지분을 요구하는 비주류 측끼리 경합을 벌이는 지역이 적지않은 만큼 자칫 공천권을 보장하다가는 당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것도 주류 측의 공천지분 반대 명분이다.
徐泳瓘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