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민단체의 특정 정치인 낙선운동을 둘러싸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민단체의 정치 참여는 국민의 정치 참여로 간주, 합법적으로 보아야 하며 현 선거법도 이를 허용하도록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김규원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16일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시민단체의 역할과 정치과정' 세미나에서 시민단체가 선거운동을 할 수 없도록 한 현행 선거법은 정치 투명성을 저해하고 있다며 정치인의 의정활동 평가자료 배포 등 선거참여 활동을 허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교수는 이와 함께 국내 시민단체들이 조직과 회원 관리 위주의 활동에서 탈피, 시민운동 방향을 나타내는 철학 중심의 조직으로 거듭나 시민들이 시민단체를 통해 각종 민생입법 활동 등 정치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국내 시민단체들이 몇몇 인물 중심의 운영체계를 갖추고 있어 이들이 정치에 참여할 경우 조직활동에 심각한 지장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며 미국 등 선진 시민단체들이 추구하는 개별 회원들의 의식 재무장으로 새로운 가치창출과 대안적 삶의 전망을 제시하는 운영 내실화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李庚達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