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이라고 모두 같은 보름달이 아니다"
오는 22일 밤과 23일 새벽 밤하늘을 바라보면 올해 뜨는 보름달 중 가장 크고 밝은 '진짜 보름달'을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이우백)과 미국의 천문·우주잡지 '스카이&텔레스코프'등에 따르면 22일 밤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1년중 가장 가까워지면서 보름현상이 겹쳐 가장 큰 보름달을 볼 수 있다.
천문연구원은 "22일 달이 뜨는 시간은 오후 5시 2분이며 보름달이 되는 시간은 23일 새벽 2시 31분"이라며 "이 시간에 보이는 보름달은 올해 보름달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았던 지난 5월 30일보다 14% 정도 크게 보인다"고 밝혔다.
이처럼 보름달 크기에 차이가 생기는 것은 달의 타원형 공전궤도, 태양과 다른행성의 영향 등으로 지구와 달의 거리가 변하기 때문이다.
지구와 달의 평균거리는 38만4천400㎞.
그러나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타원을 그리며 공전하고 있을 뿐아니라 태양과 다른 행성의 위치에 따라 인력이 달라져 지구와 달의 거리는 평균거리보다 2만~3만㎞정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오는 23일 지구와 달의 거리는 35만6천654㎞로 평균거리보다 2만7천7백여㎞나 가깝다. 달이 이처럼 지구에 가까이 접근하는 것은 1930년 1월 15일(35만6천397㎞)이후 70년만의 일이며 금세기 달과 지구 거리가 가장 가까웠던 1912년 1월 4일 35만6천375㎞보다 불과 279㎞ 먼 것이다.
'스카이&텔레스코프'는 "22일 밤 달이 지구에 매우 가까이 접근하고 보름이 겹치기 때문에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천문연구원 김봉규박사는 "지구에 가장 가까이 왔을 때와 가장 멀리 있을 때의 달을 같은 조건에서 촬영하면 그 크기 차이를 한 눈에 알 수 있고 청소년들에게 좋은 교육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