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2000년 인식오류(Y2K) 비상상황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정부는 정통부에 설치된 Y2K정부종합상황실(실장 안병엽 정통부차관)과 각부처와 기관별 비상상황실을 중심으로 Y2K 문제의 시한을 하루 앞둔 31일 전면 비상근무에 돌입했다.
금융과 전력.에너지, 통신, 원전, 운송 등 13대 중점분야에서는 모두 37만여명이 철야 근무에 들어갔으며 30대 그룹에서 3만여명, 의료기관에서 10만명 등 모두 50만명이 초조한 마음으로 새로운 천년을 뜬 눈으로 맞게 된다.
정부가 그동안 1조1천90억원을 투입해 준비해 온 13대 중점 분야 가운데 통신과 원전, 전력 및 에너지(가스), 운송, 수자원(상.하수도), 환경, 해운항만 분야는 1일 새벽 1시부터 순차적으로 정상 운영여부가 결정된다.
다만 국방과 행정.의료는 3일, 금융과 중소기업, 산업자동화설비(민간)분야는 4일 이전에 정상운영 여부가 최종 드러난다.
주요 분야별로 Y2K 발생여부가 판가름날 시간을 보면 통신과 교통신호체계는 1일 새벽 1시, 원전은 새벽 2시, 철도 및 석유 새벽 3시, 지하철 오전 6시, 상.하수도 오전 8시, 항공 낮 12시, 해운항만 오후 5시 등이다.
Y2K로 문제가 발생하면 민관합동으로 구성된 복구.안전요원이 24시간 대기하면서 긴급 출동해 이를 해결해 준다.
정통부는 현재 금융과 전력.에너지, 통신, 원전, 운송, 국방, 수자원, 해운항만, 환경, 의료, 중소기업, 산업자동화설비, 중앙.행정기관 등 13개 중점분야의 Y2K 문제해결 진척도가 당초 목표대로 100% 달성됐다고 밝혔다.
정통부는 그러나 컴퓨터와 정보기술이 보편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Y2K 문제가 완벽히 해결됐다고 장담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하고 사전에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통부는 특히 새로운 천년을 맞아 이동통신을 비롯한 통신망이 과다한 통화량으로 인해 불통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통화를 가급적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정부는 Y2K 문제가 발생할 경우 분야별로 비상대비계획을 수립해 놓고 만반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당황하지 말고 관련기관과 부처에 연락을 하거나 인터넷 홈페이지(y2000.nca.or.kr)에 접속해 차분하게 대처를 해달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