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용고 배당' 농협 재정 건실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농협 이용 정도에 따라 조합원들에게 이익금을 배당하는 이용고 배당 방식이 출자금 배당보다 배당금도 많고 농협 재정을 튼튼히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상당수 회원 농협들은 조합원들에 대한 이익금 배당을 10% 내외의 기준선을 마련, 출자금에 비례해 일률적으로 배당하는 출자금 배당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칠곡군 왜관농협의 경우 지난 95년부터 이용고 배당 방식을 적용해 출자금액의 10% 내외이던 조합원의 이익 배당금을 평균 40~50%로 올렸다.

이용고 배당은 농협의 농자재 구입, 예금 및 대출, 공제, 연쇄점 이용 등 농협 이용률에 따른 배당으로 농협 이용을 많이 한 조합원일수록 배당금을 많이 주는 방식이다.

조합원 강모씨의 경우 지난해 272%의 배당금을 받는등 대부분 조합원들이 40~50%의 이익 배당금을 받은 것으로 집계 됐다.

또 조합원들의 농협 이용이 늘어난 것은 물론 출자금도 늘어 왜관농협은 지난 95년 1억5천여만원이던 조합원 출자금액이 현재 6억원으로, 자본금은 7억원에서 66억3천여만원으로 급 신장했다.

송수익 농협장은 "이용고 배당은 조합원 한명씩 농협 이용량을 일일이 조사하는등 업무가 복잡하고 조합원들의 오해를 살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지만 조합원들에겐 금전상의 득을, 농협은 재정이 건실해 진다"고 했다.

칠곡·李昌熙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