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그때 그 함성 오늘 시민정신으로'

"학원을 정치도구화 하지 말라"며 독재에 항거하던 2·28 민주 함성이 올해로 어언 40주년을 맞았다. 그때 시내 중심가를 돌며 부정선거를 규탄하던 까까머리 학생들도 이제 머리에 허옇게 서리가 내렸다.

1960년 2월28일 일요일, 신천변에서 거행되는 야당 선거유세에 학생들과 시민들의 참여를 막기위해 자유당 정권이 '일요일 등교' 조치를 내리자 어린 학생들은 분연히 일어섰다. 당시 경북고·사대부고·대구고·대구상고·대구농고·대구공고·경북여고·대구여고 등 8개 고교생들이 주축이 된 민주운동은 비록 학생들의 움직임이었지만 곧바로 시민들의 호응을 얻었으며 이후 한국 근대사에 큰 획을 그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

2·28은 8·15 이후 독재정권에 항거한 전국 최초의 민주운동이었다. 굴절된 역사 속에서 한때는 퇴색하기도 했지만 민주화가 꽃필 새천년을 맞아 그 숭고한 정신은 더욱 빛나고 있다.

그래서 2·28 주역들은 최근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모였다. 2·28정신을 불 붙이기 위해서 였다. 지난해 6월 '2·28민주의거 40주년 특별기념사업회'를 창립하고 지난 1월에는 기념노래를 제작했다. '달구벌 정기받아 정의의 꽃 피던 날, 횃불같이 일어나 민주혼에 불지폈네, 타오르는 젊은 함성 독재의 어둠 밀어내니'로 시작되는 '2·28찬가'는 5천개의 테이프에 녹음돼 8일부터 대구시민들에게 무료로 배포된다.

기념사업회는 8일 제1차 이사회를 개최하고 2·28민주운동사 책자 발간, 2·28기념사업 홈페이지 개설, 학술대회개최(25일, 동대구관광호텔)등을 논의한다. 이같은 노력으로 올해 초등사회과 4학년 교과서에는 2·28민주의거 운동사가 수록되며 3월에는 기념공연과 함께 홍보용 비디오도 제작할 방침이다.

특히 구 중앙초교부지에 2·28민주시민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앞장섰으며 지난 1월에는 청와대에 공원조성사업비 180억원을 지원해 줄 것을 공식 요청하기도 했다. 특별기념사업회 회원도 고등학생 1만848명, 일반회원 2천27명으로 1만3천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회비만도 4천300만원에 달해 시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2·28 세대들의 올해 소원은 오직하나. 2·28정신이 대구의 시민정신으로 계승, 승화돼 민주화 운동으로 발전하기를 바랄 뿐이다. 최용호 기념사업회회장(경북대 교수)은 "2·28은 단순히 역사적 사건으로만 해석되어서는 안될 귀중한 대구의 유산입니다. 특히 세계화가 시급한 대구로서는 2·28정신이 그 밑거름이 돼야할 것"이라고 했다.

이제 2·28정신은 2·28세대만이 향유할 수 없게 됐다. 오는 28일 문화예술회관에서 거행되는 40주년 기념식은 우리 대구시민에게는 남다른 감회로 다가올 것이다.尹柱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