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기 내년 4월께 정점

현재 우리경제는 지난 98년 8월 저점을 통과한 이후 'V'자형의 급속한 경기회복세에 있으며 오는 2001년 4월께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함께 과거의 예로 볼 때 강력한 확장국면 이후에는 예외없이 외환위기 등과 같은 후유증을 경험했다며 경기를 적절히 제어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9일 '현재의 경기사이클 판단과 향후 전망'보고서를 통해 우리경제는 70년대 이후 6번의 경기사이클을 경험했고 현재는 7번째 사이클의 상승국면에 있다며 과거 평균 확장기 34개월을 적용하면 2001년 4월이 경기정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점-확장기-정점-수축기-저점을 한 주기로 하는 경기사이클의 기간은 우리나라의 경우 70년대 이후 평균 53개월로 나타났으며 저점에서 정점까지의 확장기는 34개월, 정점에서 저점까지의 수축기는 19개월이 각각 소요됐다.

보고서는 제7경기사이클에 속해있는 현재 경기상황은 99년 산업생산이 전년대비 22.5% 증가하는 등 80년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생산과 재고가 동시에 늘어나는 전형적인 경기상승 국면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수출주력상품이 종전의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에서 컴퓨터, 휴대폰, TFT-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 등 정보통신관련 품목으로 바뀌었고 정보통신관련 산업이 현재의 상승국면을 주도하고 있다면서 경기상승 국면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도 있다고 이 보고서는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그러나 강력한 경기확장 국면 이후에는 예외없이 후유증을 경험했다면서 경기상승 국면에서 과도하게 부양책을 구사할 경우 버블과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며 경기를 적절하게 제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