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병원의복·커튼·수건 슈퍼 박테리아 '소굴'

항생제가 잘 듣지않는 병원내의 슈퍼 박테리아들은 손을 잘 씻지않는 의사·간호사나 오염된 의료기기 때문만이 아니라 의복, 커튼, 수건 등 직물제품속에 잠복해 있다 감염을 일으킨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 있는 슈라이너스 아동병원 연구팀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직물제품에서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포도상구균, 장구균(腸球菌) 등 모두 22종류의 슈퍼 박테리아들이 잠복하고 있음을 밝혀냈다고 영국의 과학전문지 뉴 사이언티스트가 23일 보도했다.

앨리스 닐리 박사와 매슈 맬리 박사가 이끄는 이 연구팀은 의복에 쓰이는 순원면, 수건에 사용되는 원면테리(보풀고리), 실험실용 복장에 쓰이는 원면·폴리에스터, 차단용 커튼에 사용되는 순폴리에스터, 수술용 앞치마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등 5가지 직물류에서 슈퍼 박테리아들이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포도상구균과 장구균은 원면보다 폴리에스터에서 더 오래 잠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폴리에스터로 만들어진 병원의 차단용 커튼들은 슈퍼 박테리아들의 '소굴'일 수 있다고 이 연구팀은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