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교 교재 14종 분석

일본 역사교과서가 '조선'을 '이씨조선'으로, 주권침탈을 '병합'으로 표기하고 임나일본부를 인정하는 등 여전히 한국 관련 부분에대한 왜곡이 시정되지 않고있다.이같은 사실은 한국교육개발원 이찬희 박사팀이 일본과 중국의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사 부분을 분석, 20일 펴낸 '일본·중국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분석'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분석에 따르면 일본 고교의 '일본사' 7종과 '세계사' 7종을 분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가 한국사의 기원을 설명하며 최초 국가인 고조선은 누락한 채 한군현을 처음에 등장시켜 한국사의 상한선을 끌어내리고 한국 역사는 시작부터 중국 지배를 받은 것으로 암시했다.

고대 한일관계사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임나일본부설'에 대해서도 대부분 교과서가 이를 역사적 사실로 인정해 서술하고 있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의 대화정권이 한반도 동남부에 진출해 백제, 신라, 가야를 지배하고 특히 가야는 일본부라는 기관을 둬 6세기 중엽까지 직접 다스렸다는 주장으로 근거없는 것들이다.

또 상당수 교과서는 국호인 '조선'을 '이씨조선'이나 '이조'로 표기, 일제시대식민통치를 합리화하기 위해 만든 용어를 그대로 사용했다.

풍신수길의 영토욕과 정국불안에서 비롯된 임진왜란도 대부분 교과서가 발발 원인을 '정명가도'(征明假道, 명의 정벌을 위해 조선에 길을 빌린다)로 서술하는가 하면 조선,명의 군인과 양민의 귀와 코를 베어 전공의 근거로 삼았던 귀무덤(耳塚)도군사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위령탑으로 둔갑시켰다.

강화도조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명성황후 시해사건, 주권침탈, 3·1운동, 일군위안부 동원, 관동대진재로 이어지는 근세사에서는 우리 정부·학계의 노력으로 과거에 비해 그 강제성과 우리의 저항을 서술하는 부분이 늘어났으나 여전히 '병합'이라는 용어를 고집하는 등 교묘히 제국주의 사관을 드러내기도 했다.

안중근의 이등박문 사살을 기술하며 마치 이 사건이 원인이 돼 일본이 경찰권을 빼앗은 것처럼 책임을 전가하는가 하면 일군위안부에게 가해진 범죄행위와 책임소재를 뺀 채 '젊은 여성들이 위안부로 전쟁터에 보내졌다'고 간단히 한 줄 처리한 것이그 예.

이밖에 삼국, 특히 백제가 일본 문화에 끼친 영향을 축소하고 한국이 마치 문화전파의 교량역할만 한 것으로 폄하, '대륙과 한반도에서 건너온 도래인에 의해' 또는 막연히 '도래인에 의해'라고만 표현했다.

연구를 맡았던 이 박사는 "일본 교과서가 한국사 관련 서술에서 한국학계의 요구를 수용해 이전보다 진전된 역사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나 여전히 일본에 불리한 부분에서는 의도적인 은폐나 축소, 왜곡이 드러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