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 남장 여자, 에이즈에 걸린 수녀….
아카데미의 '금기' 사항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은 몇 가지 '작은 이변'을 낳았다.
우선 힐러리 스웽크의 여우주연상 수상은 올해 아카데미상의 최대 '이변'으로 손꼽힌다.
그녀가 출연한 '소년은 울지 않는다'는 남자로 살다 죽은 소녀의 얘기. 지난 93년 미국 네브래스카에서 남자 행세를 하다 여자임이 드러나 성폭행 당한 뒤 살해된 티나 브랜든의 실화를 영화화했다. 동성애와 남장여자라는 것도 문제지만 성에 대한 편견, 혐오와 분노, 야만적인 테러 등 아카데미가 좋아하는 품목과는 거리가 먼 부정적인 요소로 가득한 영화다.
얼굴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신인 여배우에게 최고의 영예인 여우주연상을 수여한 것과 그동안 독립영화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던 아카데미의 관행을 깬 것도 이변으로 회자되고 있다.
또 '스페인의 악동'으로 불리는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내 어머니의 모든 것'이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한 것도 눈에 띈다. 모성의 위대함을 그린 이 영화도 동성애, 에이즈에 걸린 수녀 등 '반(反) 아카데미'적 소재들이 리얼하게 그려져 있다.그러나 시상 결과를 볼 때 백인, 남자, 중류층의 삶에 관심을 쏟던 아카데미의 보수적인 성격은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억울하게 살인누명을 슨 권투 선수 루빈 카터역을 열연한 '허리케인 카터'(The Hurricane)의 덴젤 워싱턴(45)이 남우주연상에서 '탈락'한 것이 대표적인 예. 덴젤 워싱턴은 지난 1964년 시드니 포아티에에 이어 37년만에 두 번째 흑인 남우주연상 수상자가 되느냐 관심을 모았으나 흑인에게 인색한 아카데미의 '벽'을 깨지는 못했다.
金重基기자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