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약속을 받아낸 뒤 의사회가 30일로 예정했던 동네의원 휴진 및 병원들의 의약분업 시범 실시 등 집단행동을 철회했다. 그러나 이것으로 사태가 마무리됐다고 보기는 힘들다. 석달 후의 의약분업이 실행되고 난 뒤에까지도 시비가 계속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 문제 자체가 그만큼 복잡한 것이다.
의사들은 왜 길거리로 나서려 했을까? 한마디로 말해, 지금까지 제시된 방식으로 의약분업을 하면 개인의원들이 설 땅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들이 요구하는 것도 분업을 하되 그 방식을 다소 바꾸자는 쪽.
이것과 관련해서 가끔 "밥그릇 싸움한다"는 식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의사라는 직종 자체가 귀중한 우리 사회의 재산이다.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면서 국가 전체에 이익 되는 방향으로 국민들도 애정을 갖고 지켜봐야 할 사안인 것이다.
의약분업의 근본 취지 중 하나는 약의 처방(병원)과 조제(약국)를 분리함으로써 환자들에게 약이 과다 투입되는 것을 막자는 것이다. 그런데도 의사들이 불만스러워 하는 것 중 하나는, 환자들에게 약을 지어줄 권한을 약국들에게 많이 줘 버리면 개인의원에 올 환자가 어디 있겠느냐는 것이다. 분업이 실시되면 의원에 간 환자들이 전에는 안내도 되던 '처방료'라는 것을 추가로 물어야 해, 그보다는 약국을 바로 찾게 되리라는 얘기다.
이때문에 약국이 약을 조제할 수 있는 길을 최대한 좁히라는 것이 의사들의 요구이다. 이것과 관련해 지금 제기하고 있는 주요 사안 중 하나는 '의약품 재분류'문제다. 동네의원에서 쓰는 감기.설사.위장약의 70~80%가 약국에서 임의 조제될 수 있다는 것. 이를 막고, 환자들로 하여금 의원을 거쳐 처방을 받도록 하려면,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돼 있는 상당수 약들을 '전문의약품'으로 규정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의약품은 약사들이 투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의사들의 이같은 주장은 약사들의 이익과 상치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양측 누구의 이익이 중요하냐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으로는 국민 보건이 최우선 관심사가 돼야 하며, 의사.약사 모두 우리 사회의 중요한 재산인 만큼, 먼 장래까지 포괄해 국가적 이익을 달성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