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산오리나무, 아카시아, 낙엽송 등 종전 산림 황폐지 복원을 위한 경제수종 중심의 식목 행사가 최근 두릅나무, 음나무, 오갈피나무에다 더덕, 오미자, 둥글레, 당귀 등 다양하게 수종이 바뀌었다.
남부지방산림관리청은 식목일인 5일 울진군 서면 쌍전리 통고산 자연휴양림에서 직원, 주민 등 2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국유림 5ha에 식용·약용수 단지 조성에 나섰다.
산림청은 이곳에다 열매가 보약재인 산수유나무 5천여그루, 껍질과 뿌리 등이 한약재로 쓰이는 음나무, 황벽, 느릅나무, 마가목, 초피, 헛개, 오갈피, 만병초, 참옷나무 등 약용수종 2만 5천여그루를 심어 국유림의 경제성 제고와 함께 부산물 생산도 늘린다는 계획.
이와 함께 산지 형태와 일조 환경에 맞춰 산도라지, 당귀, 더덕, 오미자, 둥글레, 머위, 참나물, 산마늘, 고사리, 삽주. 참취나물 등 잎, 줄기, 뿌리 모두가 산나물로 쓰이는 여러해 살이 식용식물 2만여 그루도 함께 심을 예정이다.
이같은 추세는 일선 시·군도 마찬가지. 종전 소나무 위주에서 잣나무 등 대부분 유실수 식재를 선호하고 있다. 이번 식수기간 동안 안동시는 안동시 와룡면 야산에 소나무 대신 잣나무 3천 700여그루를 심었으며 고로쇠 수액채취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안동시 길안면과 예안면 등 안동·임하호 주변 습도가 높은 임야에다 고로쇠나무 3만여그루와 자작나무 2만여 그루를 심었다.
안동·權東純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