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92년부터 농어촌 구조개선 차원에서 실시해 온 각종 보조금사업이 올해부터 연차적으로 보조금 지원에서 융자로 전환된데다 사업성 검토 등 실무작업 조차 농협중앙회로 이관되면서 농민 자율사업 신청이 급감하고 있다.
영양지역의 경우 지난 해 26개 자율사업 분야에 총 144억6천여만원이 신청됐으나 올해 9개사업분야 21건에 총 6억4천800여 만원으로 급감, 농협 이관사업을 제외하더라도 30~40%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추·천궁 생산농가에서 신청했던 원예특작생산유통지원 사업의 경우 올해부터 농협의 농업경영종합자금제도로 사업이 이관되면서 50%이상 신청이 줄었다.이같은 현상은 정부가 올해부터 공동이용 농기계 구입사업, 원예특작 생산유통지원, 축산단지 조성사업, 농기계 보관창고 건립사업 등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없애거나 20% 가량 줄여 농가부담이 늘어난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그간 행정기관이 맡아오던 농림사업 중 경지정리 등 공공사업을 제외한 농민자율사업의 경우 올해부터 농협중앙회로 사업이 이관됐으나 정부의 홍보부족으로 농민들의 인식이 부족한 것도 사업신청 격감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농민들은"보조금이 없어지고 언젠가 갚아야 할 융자를 늘이는 것은 결국 농가부채 증가와 농촌 파탄의 원인이 될 것"이라며"농림사업을 연차적으로 금융기관으로 넘기는 것은 정부가 농업정책을 포기하고 있는 단적사례"라 지적했다.嚴在珍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