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초교 내년 컴퓨터교육 필수

◈정부 정보 격차 해소 방안정보화 취약계층의 정보접근기회를 늘리기 위해 초고속 정보통신망이 늘어나고 정보접근 지역센터와 PC 보급이 대대적으로 확대된다.

또 주부 인터넷교육 대상자가 현재의 100만명에서 200만명으로 확대되고 농어민과 장애인, 노인, 장년층에 대한 정보화교육 기회가 늘어난다.

특히 내년부터 초등학교 1년부터 컴퓨터교육이 필수화됨으로써 상당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정부는 급속한 정보화로 정보격차(Digital Divide)가 더욱 벌어져 사회.경제적인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6일 오전 김대중(金大中)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4차 정보화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했다.

이 실천방안에 따르면 정보화 취약계층의 정보접근 기회를 늘리고 모든 국민이 디지털경제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올 연말까지 전국 196개 읍지역에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PC보급을 위해 저소득층 학생 5만명에게 PC를 무상공급하고 5년간 인터넷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농업인에 대한 PC보급 확대방안도 마련하는 동시에 PC기증에 대한 세제지원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또 장애인들을 위해 컴퓨터 기기 및 음성변환기술, 자동자막처리기술, 화면키보드 등 관련SW도 개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정보화 취약계층에 유용한 정보제공을 확대하기 위해 농어업분야의 콘텐츠 제공을 늘리고 장애인 종합정보사이트를 구축하기로 했다.

또 대대급 이상 군부대에 8천75대의 PC를 설치, 6월부터 전역되는 2만명의 장병들을 시작으로 인터넷 정보검색사 자격시험을 시행해 연간 27만명의 검색사를 사회에 배출하기로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