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이 과반수 의석확보에 실패함에 따라 조만간 여야총재회담을 통해 야당 측에 정국안정에 협력을 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며 이회창 한나라당총재도 이에 응할 방침이어서 모처럼 여야가 대화의 테이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양 측의 향후 정국대응방향을 살펴본다.
◎…김 대통령은 이번 선거결과에 대해 "그 정도면 됐다"며 애써 자위했지만 청와대는 내심 여소야대가 엄연한 현실이라는 점에서 걱정이 앞서고 있다.
청와대는 야당인 한나라당의 협조없이는 정국을 원만하게 끌고 갈 수 없기 때문에 당장 야당을 자극하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는 자민련과의 합당추진이나 한나라당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영입작업을 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사안별로 야당의 협조를 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자민련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김종필 명예총재와의 협력재개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한편 김 대통령은 오는 17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앞으로 남북정상회담, 경제회생, 국민 대화합에 매진할 뜻을 천명하며 정치권과 국민의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특히 여야총재회담을 제의하며 국정동반자관계를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회창 한나라당총재는 총선승리로 여유를 되찾은 듯 14일 기자회견을 통해 "여야는 협력해 민생으로 달려가야 하며 김대중 대통령이 큰 정치를 편다면 흔쾌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김 대통령을 언제든지 만날 것"이라며 여야총재회담을 먼저 치고 나왔다.
이 총재는 "대통령과 여당이 선거에서 나타난 국민의 뜻을 거슬러 또다시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시도한다면 이는 국민이 이번 선거에서 보여준 숭고한 뜻을 배반하는 것"이라며 좌시하지 않겠다는 식으로 엄포를 놓기는 했다.
이 총재도 이제 제1당의 총재로서 정국운영에 책임감을 느껴야 할 처지이고 또 개인적으로 당내 대선후보경쟁에서 선점한 만큼 투쟁일변도의 이미지를 탈피해야 할 부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처럼 행동하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도 만만찮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승리한 한나라당이 국정 및 정국운영을 정부 여당의 뜻대로 끌려가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특히 5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에서 벌어질 선명성 경쟁을 염두에 두면 대화국면이 계속 지속될 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결국 이 총재는 강·온전략을 병행추진할 것으로 분석된다.
어쨌든 여야간 대화노력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지만 노태우 대통령 재임시절 여소야대때의 정치현실을 회상해 보면 정국이 여야대립구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듯하다. 당장 16대 국회개원을 앞두고 국회의장 선출 및 원 구성문제를 놓고 다툴 가능성이 높다.
李憲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