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이 과반수 의석확보에 실패함에 따라 조만간 여야총재회담을 통해 야당 측에 정국안정에 협력을 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며 이회창 한나라당총재도 이에 응할 방침이어서 모처럼 여야가 대화의 테이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양 측의 향후 정국대응방향을 살펴본다.
◎…김 대통령은 이번 선거결과에 대해 "그 정도면 됐다"며 애써 자위했지만 청와대는 내심 여소야대가 엄연한 현실이라는 점에서 걱정이 앞서고 있다.
청와대는 야당인 한나라당의 협조없이는 정국을 원만하게 끌고 갈 수 없기 때문에 당장 야당을 자극하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는 자민련과의 합당추진이나 한나라당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영입작업을 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사안별로 야당의 협조를 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자민련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김종필 명예총재와의 협력재개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한편 김 대통령은 오는 17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앞으로 남북정상회담, 경제회생, 국민 대화합에 매진할 뜻을 천명하며 정치권과 국민의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특히 여야총재회담을 제의하며 국정동반자관계를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회창 한나라당총재는 총선승리로 여유를 되찾은 듯 14일 기자회견을 통해 "여야는 협력해 민생으로 달려가야 하며 김대중 대통령이 큰 정치를 편다면 흔쾌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김 대통령을 언제든지 만날 것"이라며 여야총재회담을 먼저 치고 나왔다.
이 총재는 "대통령과 여당이 선거에서 나타난 국민의 뜻을 거슬러 또다시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시도한다면 이는 국민이 이번 선거에서 보여준 숭고한 뜻을 배반하는 것"이라며 좌시하지 않겠다는 식으로 엄포를 놓기는 했다.
이 총재도 이제 제1당의 총재로서 정국운영에 책임감을 느껴야 할 처지이고 또 개인적으로 당내 대선후보경쟁에서 선점한 만큼 투쟁일변도의 이미지를 탈피해야 할 부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처럼 행동하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도 만만찮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승리한 한나라당이 국정 및 정국운영을 정부 여당의 뜻대로 끌려가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특히 5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에서 벌어질 선명성 경쟁을 염두에 두면 대화국면이 계속 지속될 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결국 이 총재는 강·온전략을 병행추진할 것으로 분석된다.
어쨌든 여야간 대화노력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지만 노태우 대통령 재임시절 여소야대때의 정치현실을 회상해 보면 정국이 여야대립구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듯하다. 당장 16대 국회개원을 앞두고 국회의장 선출 및 원 구성문제를 놓고 다툴 가능성이 높다.
李憲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