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정상회담 2차 준비접촉 전망

지난 22일 열린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실무 대표단의 첫 판문점 준비접촉의 성과는 2차 접촉을 오는 27일 판문점 북 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열기로 합의한 것 뿐이다.

이날 회담은 1시간 20분간 진행됐지만 양 측 보도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30여분간 환담을 나눈 것을 감안하면 실제로 회담을 진행한 것은 1시간이 채 되지 않는다. 양 측이 기조발언만 하고 2차접촉 일정만 합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남북 양 측이 회의 내용을 공개하지 않기로 합의함에 따라 기조발언내용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우리 측은 김대중 대통령이 밝힌 '베를린 선언'의 네 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의제를 논의하자며 이산가족문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북 측은 실무절차에 대한 조속한 합의를 희망하면서 남 측 주장을 경청하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오는 27일의 2차 접촉에서는 우리 측이 요구한 의제문제 등에 대해 북 측이 구체적으로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돼 합의안이 도출될 지 여부가 관심거리다. 이와 관련, 북 측의 김령성 대표단장이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과거의 타성에서 완전히 벗어나 모든 것을 통일지향적인 새로운 마음으로 대해야 할 것"이라며 전향적인 자세를 보인 것은 눈여겨 볼 만한 대목이다.

북 측이 2차 접촉에서 우리 측의 제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경호와 의전, 방문절차 등의 실무적인 문제는 별도의 실무접촉으로 분리, 논의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북 측 김 단장이 1차접촉에 앞서 "'근본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언급한 것도 회담전망을 엇갈리게 하고 있다. 북 측이 의제선정에 앞서 주한미군철수 등을 선행조건으로 제시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또 북 측 김 단장이 '역사적인 평양상봉과 최고위급회담'으로 남북정상회담을 굳이 표현한 것과 관련, 북 측이 김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간의 회동과 김 대통령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간의 회담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는 만큼 우리 측은 정상회담의 형식을 분명히 못박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북 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관심거리다. 북 측이 민간기구인 김용순 아.태평화위원장 명의의 신임장을 가져온 것이나 김 단장의 직함을 최고인민회의 참사로 내세운 것 등도 이같은 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

정부는 23일 정상회담 준비기획단장인 양영식 통일부차관 주재로 '정상회담 준비기획단회의'를 열어 2차 준비접촉 대책을 논의했다.

徐明秀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