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DJ 이한동총재 만날까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의 영수회담을 계기로 김 대통령과 자민련 이한동(李漢東) 총재간 회담이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자민련은 이번 영수회담과 관련, 3당 총재의 연쇄회담이 이뤄져야 한다며 김 대통령과 이한동 총재간 개별회담이 개최되기를 희망해왔기 때문에 청와대측의 결심만 서면 두 사람간의 회담도 곧바로 이뤄질 수 있다.

자민련이 공조복원을 위한 청와대측의 잇단 '구애(求愛)'에 부정적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김 대통령과의 회담에 적극성을 보이는 이유는 16대 총선 참패로 정국의 종속변수로 밀려난 상황에서 여야 총재들의 회담에 끼지 못할 경우 입지가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는 절박한 현실인식을 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자민련측은 "회담이 성사될 경우 총선후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고 김 대통령의 남은 임기동안의 주요 국정과제인 남북 정상회담과 민생문제에 대한 야당의 초당적 협조를 구하는 문제가 의제가 돼야 한다"며 공조문제와는 별개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같은 자민련의 입장에 대해 청와대의 핵심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할 수는 있지만 상황을 두고 봐야 한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청와대측의 이런 입장은 한나라당 이 총재와의 영수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게 급선무인 만큼 자민련 이 총재와의 회담 문제로 한나라당측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 대통령도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선 원내에서 일정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 자민련의 협조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번 영수회담이 끝난 뒤 적절한 시기에 자민련 이 총재와의 회담에 응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과거 김 대통령은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지 못한 국민신당 이만섭(李萬燮) 총재와도 회담한 전례가 있다.

특히 향후 정국 운영에서 자민련의 협조를 필요로 하고 있는 청와대측으로서는'자민련 달래기' 차원에서도 자민련의 이같은 요구를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자민련은 16대 국회 원구성에 있어 원내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를 의장선출 문제와 연계시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행사하려 하고 있다.

아울러 남북정상회담 성공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김 대통령으로서는 보수 안보정당을 자임하고 있는 자민련의 목소리를 일정 부분 수용함으로써 남북정상회담이 초당파적, 민족적 대사라는 점을 부각시킬 가능성이 크다.

결국 이같은 상황여건으로 볼 때 김 대통령과 자민련 이 총재간 회담은 조만간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두 사람간 회담이 이뤄질 경우 민주당과 자민련간 공조복원 문제도 자연스럽게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