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기무사가 문민정부 시절 '백두사업' 추진 과정에서 린다 김의 로비 의혹을 내사, 국방부에 경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무사는 3일 통신감청용 전자장비와 이를 탑재할 정찰기를 미국제로 선정한 지난 96년 6월 이전 린다 김의 로비 활동 및 행적을 내사, 국방부에 그 결과를 알렸다고 밝혔다.
기무사 고위관계자는 이날 "96년 6월 백두사업이 결정되기 이전에 린다 김이 여러 사람들을 분주히 접촉하고 다녀 관련 첩보를 수집했으며, 방위산업 관련 동향보고를 통해 '린다 김은 요주의 인물'이라고 국방부에 경고해 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같은 해 동부전선 전자전 장비와 관련, 교육사령부에 '린다 김을 조심하라'고 알려준 바 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린다 김은 미국 스탠퍼드 대학을 나왔다고 얘기하고 다녔지만 내사한 결과 모두 거짓임이 드러났었다"고 덧붙였다.
내사 과정에서 기무사는 이번 '사적 서신'을 통해 드러난 것과 같이 당시 이양호(李養鎬) 국방장관, 황명수(黃明秀) 국회국방위원장, 정종택(鄭宗澤) 환경부장관, 김윤도 변호사 등이 린다 김과 친분관계가 있는 사실을 상당부분 확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기무사가 내사하기 직전 린다 김은 미국으로 도피한 상태였으며, 도피전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져 있던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져 권력 실세들이 출금조치를 해제시키고 도피를 방조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결국 정찰기와 전자장비 사업자가 응찰업체중 가장 비싼 가격을 제시했음에도 린다 김을 로비스트로 고용한 미국의 E시스템사로 선정되자 세간에 로비 의혹이 크게 불거졌으나 2년 이상 유야무야되다 98년 5~8월 국방부 자체감사와 감사원 감사를 통해 선정과정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이 사업계획을 포함한 국방부 중기계획이 무기중개상에게 흘러갔다는 첩보가 접수되면서 98년 10월 기무사가 군기밀보호법 위반부분에 대해 공식 수사에 착수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