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면역강화 단백질=농작물의 병충해를 막을 수 있는 '식물 면역강화 단백질 하르핀'이 최근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승인을 받아 두달 뒤부터 시판될 예정이다. 사과.배나무 고사병(枯死病) 박테리아에서 채취한 이 단백질의 상품명은 '메신저'이며, 이것을 쓰면 농약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도 수확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메신저'는 일차적으로 바이러스.박테리아.곰팡이 등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지만, 일부 해충을 막는데도 효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식물 뿌리 성장을 촉진, 수분 필요량도 줄일 수 있다. 사람.동물에 해가 없으며, 살포 뒤 2시간이 지나면 분해돼 소멸된다.
◇미 GM식품 표시 않는다=미국은 유전자 변형(GM) 식품이 위험하다고 볼 이유가 없다며 '별도 표시 의무화'를 않기로 지난 3일 결정, 소비자단체의 반발을 사고 있다. 식품의약청(FDA)은 대신 해당 GM식품 연구 결과를 의무적으로 제출토록 할 방침이다.
미국 식품업계는 GM 표시가 의무화되면 소비자들이 경계, 이를 기피할 것이라며 반대해 왔다.
◇티베트 무차별 개발=중국이 석유.광물.목재 등을 마구 채굴, 티베트를 망치고 있다고 망명정부가 유엔 보고서를 통해 최근 비난했다. 또 중국은 티베트에 핵폐기물을 버리고, 대기가 희박한 티베트 상공에서 미사일 요격 레이저 무기를 실험했다고 망명정부는 주장했다. 중국 군인들도 기관총으로 사냥을 하고, 다이나마이트로 물고기를 잡기도 한다는 것.
◇印尼 삼림 하루 4천ha씩 사라진다=국제 삼림조사센터(CIFOR)는 "인도네시아 삼림이 하루 4천ha씩 사라지고 있다"고 최근 열린 한 세미나에서 경고했다. 삼림 복원능력의 3배에 이르는 면적이 벌채되고 있다는 것.
이 나라 삼림은 아마존 다음으로 크며, 일부 희귀 동식물 서식처로서 생태의 보고 역할을 하고 있다.
石珉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