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공해시설 집합소처럼 30년동안 온갖 '공해'속에서 살아온 안심지역 7만 5천여 주민들이 분노하기 시작했다.
"이게 어디 사람사는 동네냐!"
순수 소시민들로 안심지역발전협의회를 구성한 이후(지난해 5월) 공해시설 추방운동에 뜻을 보인 주민 회원들이 1년만에 900여명으로 불어나 오는 20일 총회를 갖는다. 이들은 행정기관.대상시설.관련기관 등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공해시설 추방 활동에 돌입키로 했다.
그동안 각종 공해시설 이전을 공약만해온 당국과 정치인, 지역유지들은 '믿을 수 없는 사람들'이라며 배제했다.
▨실태
지난 71년에 들어선 율암동 저탄장은 30년가까이 탄가루를 내 뿜어 이 일대가 회색도시로 변해버렸다. 저탄장시설이 일부 이전된 자리에는 몇 년전 아스팔트 골재인 아스콘공장이 들어서 쇄석가루를 마구 날리고 있다.
K-2 비행장 굉음은 주민들에게 밤낮으로 소음공해를 안겨주고 있다. 하지만 최근 동구청이 추진중인 소음공해 피해를 입고 있는 공항주변 주민 지방세 감면 조치 대상에서조차 이곳은 제외당하는 서러움을 겪고 있다.
율암동과 각산동지역 시멘트공장에서 내뿜는 시멘트가루, 신서동 일대 100여 섬유.정비공장에서 배출하는 악취와 폐수 등에도 몸서리가 날 정도다.
또 안심지역 3분의 2이상이 그린벨트인데다 철도, 고속도, 공항 등으로 인해 재산권 행사도 제대로 못하고 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매연, 교통체증 등을 유발하는 시내버스 차고지와 대규모 하수종말처리장까지 연이어 들어설 예정이어서 주민들을 더욱 분노케하고 있다.
주민 정종현(62)씨는 "가뜩이나 공해속에서 살가는 것도 억울한데 새로운 공해시설들이 자꾸 들어서니 이제는 떠나고 싶은 마음 뿐이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살기 좋은 곳으로 소문난 안심지역은 지난 30년간 주민들이 하나 둘 고향을 등지면서 지역경제도 파탄나 버렸다.
주민 배병주(58)씨는 "7만 5천여명의 주민중 터줏대감은 18% 뿐이고 전국 광역시중 5일장이 남아있는 곳은 안심지역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민 움직임
지난 몇 년간 뜻 있는 일부 주민들은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회의원, 시의원, 구청장 등에게 매달렸지만 당선후에는 외면당했다.
이에 따라 순수 민간차원의 협의체를 구성한 주민들은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주민의견을 수렴해 조직적인 공해시설 추방운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선 올 연말까지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시내버스 차고지(동호동) 이전의 백지화 투쟁을 벌이고, 공항소음으로 인한 지방세 감면조치 대상에 안심지역 적용을 적극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어 대구공항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고 있는 안심지역 고도제한구역의 전면 해제 확대, 2002년 대구선 이설 이후 시멘트 및 저탄장 이전 지역에 또다른 공해시설 전입 사전 차단 등을 준비하고 있다.
채한수 안심지역발전협의회장은 "지역문제 해결은 주민의 몫"이라며 "주민들의 결연한 뜻을 모아 공해시설을 추방, 살기 좋은 엿 명성을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李鍾圭기자 jongku@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