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전당대회와 관련 불공정성 논란에 휩싸인 한나라당이 경선의 투·개표 방식을 놓고도 갈팡질팡 행보를 보이는데다 급기야 최근 단행된 사무처 인사를 놓고도 반발기류가 계속되고 있어 당 안팎에서 비난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투·개표 방식=부총재 경선을 '2인 연기명'식으로 하기로 함에 따라 총재를 포함한 지도부 경선의 투·개표도 OMR 카드에 의한 방식을 채택키로 했었다. 즉 대의원 수가 7천694명이므로 총 투표수는 2배수인 1만5천388명이나 돼 투·개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이같은 방식을 채택키로 했던 것이다. 이를 위해 당헌·당규 개정소위를 구성, 개정작업을 한 뒤 지난 12일 중앙위 운영위원회까지 열어 확정하는 과정까지 거쳤다.
그러나 26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모의 투·개표 시연을 한 결과 부총재의 경우 용지 한 장에 2명을 기표하는 바람에 컴퓨터가 인식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민관식 선관위원장 등은 부랴부랴 대책을 논의, 결국 OMR 방식은 확정된 지 14일만에 없었던 일로 돼 버렸다. 이에 따라 모두 수작업으로 하기로 했으며 투·개표 시간도 당초 계획보다 지연, 다음날 새벽에야 마무리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사무처에서는 "투·개표 방식 변경은 당규를 개정해야 하는 중대 사안인데도 사전 검토없이 일사천리로 일을 추진해 버린 것은 지극히 무책임한 행태"라고 비난했다.
◇국장급 인사 거부=당은 지난 17일 자로 사무처의 1, 2 급 국장급 23명 등에 대한 승진 및 교체 인사를 단행했으나 관련자들의 반발로 아직까지 시행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이번 인사가 정기 인사를 1개월 앞두고 이뤄졌다는 점에 있다. 때문에 방(榜)이 붙자마자 부총재 경선에 출마한 하순봉 당시 사무총장이 인사 안을 마련했다는 점 등과 맞물려 의혹이 무성했다. '대의원 줄세우기'의 일환이라는 관측이었다. 한 당직자는 "설사 하 총장이 이같은 안을 마련했다고 해도 이 총재로선 불공정 논란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 등을 감안, 결제를 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승진 당직자들의 경우 실제로 해당 보직으로 옮기려고 하다가 교체자들의 반발에 밀려 눈치를 보는 등 어정쩡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물론 이에 대한 당 측의 해명은 "순환보직인 국회직의 교체 및 일부 계급정년 대상자들에 대해선 인사 조치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