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상위장 인선 안팎

여야가 나눠맡기로 한 16대국회의 상임위원장 인선은 총선과 전당대회 등을 거치면서 총재 등 당지도부와 맺은 정치적 관계와 논공행상에 따라 이뤄졌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경력이나 의정활동 등의 전문성보다는 여야 모두 철저하게 당직을 배분하듯 '감투 나누기'에 치중했다는 지적이다.

민주당이 약사회장 출신의 김명섭 의원을 정보위원장에 지명한 것은 대표적인 영입파 배려 케이스. 행자위원장으로 내정된 이용삼 의원은 행자위 경험은 전무하고 주로 건교위에서만 의정활동을 해왔다. 총무경선에서 정균환 총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나선데 대한 논공행상이라는 말도 무성하다.

최재승 의원을 문화관광위원장에 내정한 것도 동교동계의 지원에 의한 것이라는 후문이다.

한나라당도 마찬가지다.

총무경선을 포기한 인사들이 대거 상임위원장에 발탁되는가 하면 이회창 총재의 직계로 알려진 인사들도 자리를 차지했다.

교육위원장에 내정된 이규택 의원과 박명환(통일외교통상위), 박주천(정무위) 의원 등은 총무경선 출마포기에 대한 배려케이스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모두 전문성과는 거리가 멀다. 당 재정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돈웅 의원을 재경위원장에 임명한 것에 대해서도 여당측이 반발하는 등 말썽이 일고 있다. "국세청을 통해 기업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재경위원장을 맡는 것은 문제"라는 것이다.

지역적으로도 한나라당의 주요 기반인 대구.경북이 상대적으로 홀대를 받았다. 박헌기 의원이 법사위원장에 내정됐지만 대구는 한 석도 배려받지 못했다. 3선의 윤영탁 의원이 정무나 건교위원장을 강력히 희망했지만 "당 기여도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탈락했다. 한마디로 이 총재 직계가 아니라는 얘기다.

부총재경선에서 탈락한 이상득 의원은 내심 상임위원장 배려를 기대했지만 쓴 웃음을 지어야 했고 신영국 의원도'자가발전'수준에 만족해야 했다.

이에 한나라당 초.재선과 비주류 의원들이 당지도부의 일방적인 상임위원장 배분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김문수 의원 등은 이날 의총에서 "상임위원장은 본회의에서 전체의원들이 해당 상임위 소속 의원중에서 선출하도록 돼있는데 소속 상임위원들의 의견은 듣지 않았다"며 이의를 제기했다. 김홍신.이재오 의원등 초.재선 20여명은 이와 관련, 별도의 모임을 갖기도 했다. 13일로 연기된 상임위원장 선출과정에서 파란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徐明秀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