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강산 면회소 설치 유력

6.15 남북 공동선언의 첫 후속 조치로 오는 27~30일 금강산 호텔에서 열리는 남북 적십자회담에서는 무엇보다 '8.15 즈음 100명 규모의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교환'을 위한 내용들이 집중 협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 정상이 이미 공동선언에서 "올해 8.15에 즈음하여 흩어진 가족, 친척 방문단을 교환하며 비전향장기수 문제 등 인도적 문제를 조속히 풀어나가기로 했다"고 명시한 만큼 이산가족 상봉규모와 시기는 큰 쟁점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가 고향방문단 교환의 규모와 관련해 앞으로는 100명 이상을 희망하고 있고 이번 회담에서 이 문제를 제시할 경우 북측이 얼마만큼 호의적인 입장을 들고 나올지는 아직 미지수다.

남측은 또 적십자회담에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고향방문단을 정례화하는 방안, 향후 전체 이산가족의 생사 및 주소확인, 상봉, 왕래 등의 이산가족 문제해결을 제도화하는 방안 등을 거론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부는 이번 회담을 85년 12월 제10차 본회담 이후 제11차 본회담으로 발전시키는 문제도 북측과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적십자 본회담은 결국 전체 이산가족의 재결합이라는 목표를 논의하는 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인 셈이다.

북측도 적십자회담의 정례화 문제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곧 차기 적십자회담부터 북측이 희망해온 비전향장기수 송환을 의제화하는 문제와 관련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측이 6.15 공동선언에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교환과 비전향장기수 송환이 나란히 명시돼 있다는 점을 들어 이번 회담부터 두가지 사안의 동시해결을 내세울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같은 맥락에서 향후 국군포로 상봉문제는 난항이 예상된다. 정부 당국자들은"가능한 빨리 국군포로를 합류시켜 상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혀 차기 회담때부터 포함시킬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지만 북측은 국군포로 문제가 공동선언에 명문화돼 있지 않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면회소 설치 여부.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제도화를 위해 면회소 설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판문점, 금강산, 나진-선봉지역 등이 거론돼 왔으나 현재로써 금강산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된다.

면회소 설치는 앞으로 이산가족의 만남이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금강산 개발을 관장하고 있는 현대측도 이산가족의 이산가족의 이동과 숙식에 협조의사를 보이고 있고 정치적 색깔도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적십자회담 장소가 당초 남측이 제시했던 판문점이 아닌, 북측의 희망대로 금강산으로 결정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북측은 21일 적십자회담에 대한 남측 제의에 대해 수정제의를 했을때 장소 변경사유를 "우리들끼리 논의하는데 편리하다고 생각해서"라고 밝힌 대목은 민족문제를 홀가분하게 협의하자는 뜻으로 해석돼 면회소 설치문제가 의외로 쉽게 풀릴 수도 있다는 전망을 가능케 한다.

그렇지만 이번 금강산 호텔 회담의 남측 취재기자 숫자 제한에 따른 여파가 걸림돌이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남아 있다는 지적도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