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금강산 회담 안팎

지난 27일부터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남북 적십자회담은 29일 사실상 타결에 이르기까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등 한편의 드라마였다.

첫날 회담에서 북측은 8월초 비전향 장기수 송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선제공격을 가했다는 것이 남측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남북 두 정상의 역사적인 6.15 공동선언 합의를 이행하기 위해 처음으로 열리는 적십자회담에선 당연히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이 세부적으로 협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던 남측으로선 뜻밖의 제안이었다.

또 남측 대표단의 일원으로 공동취재에 나섰던 조선일보 기자가 끝내 현대 금강호에서 하선하지 못하는 모습도 삐져 나왔다.

28일 하루 회의를 열지 못한 채 29일 오전 10시에 속개된 2차 회담은 그야말로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힘겨루기가 이어졌다.

두 차례의 정회와 회의가 이어진 이날 오전 회담에서 양측은 각각 상대의 허를 찌르는 수정안을 제시하며 막판 신경전을 계속했다.

북측은 8월 15일 즈음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과 9월초 비전향 장기수 송환으로 남측의 입장을 수용했지만 이산가족면회소 설치와 관련해 막판까지 확실한 대답을주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측 또한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을 8.15 이후 북측 이산가족 상봉단의 서울방문에 실현시켜야 한다는 강공책을 구사했다.

이날 양측은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 문제로 한때 험악한 분위기까지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남측과 북측은 두 정상의 합의 정신을 되살려 북측이 후속 적십자회담에서 이산가족 면회소를 협의, 타결짓기로 함에 따라 사실상 타결에 도달했다.

이 과정에 이르기까지 금강산의 남측 대표단은 물론 서울의 본부조차 강온노선을 오락가락하는 난맥상을 빚어 한때 혼선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남북관계 전문가들은 "이번 적십자회담의 경우 양측 대표단들이 신세대로 교체된 것처럼 보였지만 새로운 회담 행태를 찾기가 힘들었다"며 "실권 없이 눈치만 살피는 회담은 이제 사라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