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융권 손실 5조9천억

금융기관의 손실 규모는 증권.투신이 1조9천586억원, 은행권이 3조9천393억원 등 모두 5조8천979억원으로 최종 집계됐다.

정부는 부실이 큰 은행의 경우 선 경영정상화를 유도하되 자구노력이 실현불가능하면 공적자금 투입을 전제로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통합하기로 했다.

또 대우 담보 CP의 손실부담으로 건전성이 떨어지는 투신운용사에 대해서는 장기저리자금 지원으로 손실을 부분 보전해주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30일 금융기관의 지난 6월말 현재 손실 규모가 국책은행을 포함한 은행권이 3조9천393억원, 증권사가 1조1천572억원, 투신사가 7천814억원(고유계정)등 모두 5조8천979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은행의 경우 시중은행중에서는 대기업여신이 많은 한빛은행의 잠재손실이 7천76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은행 7천670억원, 외환은행 5천837억원, 국민은행2천734억원 등 순이었다.

금감원은 투자신탁(운용)회사의 경우 부실자산(부도 및 준부도채권)은 2조2천638억원이었으나 상각(투자자부담) 1조2천108원등을 감안하면 실재 고유계정 부실은 7천814억원이며 신탁재산은 부실이 없다고 밝혔다.

투신은 후순위채펀드(CBO)를 통해 판매사(증권사)에 부실을 넘기거나 고객에 이전했기 때문에 일반의 예상처럼 손실규모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증권사의 경우 후순위채펀드(CBO)의 신용보강(손실보전)액이 1조250억원, 미매각수익증권 손실 1천522억원 등이나 영업실적이 좋아 건전성 최소기준인 영업용순자본비율이 150% 이하로 떨어지는 증권사가 없으며 은행신탁 역시 충당금(9천915억원)을 충분히 쌓았기 때문에 부실이 전혀 없다고 선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