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1일 금융파업 초비상

오는 11일 전국의 은행, 농.수협, 금융결제원, 신용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 등 금융권이 총파업에 들어갈 계획이어서 지난달의 의료대란에 이어 사상 초유의 금융대란이 우려된다.

한국노총 산하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3일 전국 24개 금융기관과 여타 기관의 6만5천여 조합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금융구조조정 중단을 관철시키기 위한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금융노련은 4일중 찬반투표 결과가 나오는대로 대(對) 국민 기자회견을 갖고 6일 산하 전 조직에서 모의 파업을 실시한 뒤 11일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금융노련은 찬반투표에서 은행별 차이는 있겠지만 압도적인 찬성률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이미 '강제합병 저지 총파업 투쟁위원회' 조직 구성 및 향후 일정 마련을 완료한 상태다.

대구.경북에서도 3일 금융노련 대구.경북지부 소속 15개 지부 4천500여 조합원들이 일제히 파업 찬반투표를 마쳤다. 대구은행 노조는 본점 각 부별 및 지점에 설치돼 있는 174개 분회별로 영업시간인 오전 9시 이전 투표를 끝냈으며, 여타 시중은행 등도 투표를 마쳤다.

이에 따라 전국의 시중은행 9, 특수은행 3, 지방은행 6, 농.수협, 금융결제원, 신보, 기보 등 24개 금융기관 및 여타 기관의 6만5천여 조합원들이 11일 일제히 파업에 돌입하는 사태가 현실화돼 금융기능의 마비가 우려되고 있다.

은행들은 노조가 파업할 경우 차장급 이상 간부와 비노조원을 동원해 업무에 투입할 계획이지만 노조원 비중이 압도적이어서 기본적인 입.출금 업무조차 이뤄지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은행의 경우 비정규직을 포함한 전체 직원 2천943명중 노조원은 1천960명으로 66.6%에 달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선 점포에선 지점장과 차장 한두 명을 뺀 거의가 조합원이어서 금융노련이 파업할 경우 사실상 업무는 마비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기업 부도와 관련되는 여신업무 등 극히 일부 업무가 가동되고 나머지 입.출금, 송금, 대출 등의 업무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금융노련은 은행 강제합병 의도 철회와 관치금융 청산, 금융지주회사법 제정반대 등을 내세우며 11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며 '강제합병은 없다'는 대통령의 약속이 나오지 않는 한 정부와 대화도 하지 않는다는 강경입장을 고수하고 있다.이와 관련 이용근 금융감독위원장은 3일 오전 전국 은행장들과 긴급 간담회를 갖고 대책을 숙의하고 있다.

李相勳기자 azzza@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