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나 PC통신을 이용하는 청소년의 절반 가량이 컴퓨터를 사용한 뒤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가정법원(원장 신명균) 소년자원보호자협의회는 3일 "전국의 초.중.고생 1천9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들 중 48.6%가 인터넷이나 PC통신을 이용한 뒤 집중 부족과 육체적 이상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30.2%가 '인터넷 생각만 나 공부에 집중할 수 없다'고 응답했으며 '시력장애, 언어장애, 피곤함 등의 육체적 이상을 느낀다'는 응답이 8.2%, '현실과 가상의 혼동이 온다'는 응답이 7.7%, '화가 나거나 폭력을 사용하고 싶다'는 응답이 2.5%로 나타났다.
"인터넷이나 PC통신을 통해 음란물을 접해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40%의 학생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들은 '음란물을 계속 보고 싶다(32.5%)', '성충동을 느낀다(26.4%)', '사이버 성폭력을 하고 싶다(5.1%)'고 대답해 사이버 음란물이 청소년들에게 왜곡된 성의식을 심는 것은 물론 사이버 성폭력까지 조장하고 있었다.
또 인터넷을 이용하는 장소로는 '집에서 혼자 이용하는 경우(39.3%)'보다 'PC방을 이용하는 경우(49.1%)'가 더 많았으며 특히 비행청소년이나 시설수용학생들의 PC방 이용 비율은 77.4%에 달해 PC방이 청소년의 비행과 탈선의 장소로 이용될 위험성이 높음을 반증했다.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목적은 '게임오락(34.7%)', '채팅(26.9%), '취미생활 및 관심사에 대한 정보검색(24.3%)', '공부에 필요한 자료검색(9.7%)' 순으로 조사됐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사이버 성폭력방지팀 이경화팀장은 "사이버 음란물이 청소년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어른들에게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 어른들이 청소년 스스로 음란물을 차단할 수 있는의지를 길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