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를 무릅쓰고라도 운동을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더울 때의 장시간 운동은 심혈관 기능이나 체온조절 기능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다만, 온도가 높다 해도 습도가 낮다면 땀의 증발을 통한 체온조절이 좋아지므로 위험은 줄어 든다. 미국 스포츠 의학회에서는 습구온도가 28℃가 넘으면 장거리 경기(16km)를 실시하지 않도록 하고, 낮기온이 27℃를 넘을 때는 오전 9시 이전이나 오후 4시 이후에 운동할 것을 권하고 있다. 운동할 때는 물을 많이 마시고 휴식을 자주 취하며, 운동복은 피부가 많이 드러나는 간편한 것이 좋다.
운동하기 전에 충분히 물을 마셔야 탈수증을 예방할 수 있다. 운동 중 갈증을 느끼고 난 다음 물을 마셔도 체액 보충에는 시간이 걸린다. 운동 시작 20~30분 전에 8~10℃의 물을 400~500㎖ 마시는 것이 좋다.
과거 스포츠에 대한 과학적 인식이 없었을 때는 운동 중에 물 마시는 것을 금했다. 갈증을 참았다가 운동을 마친 뒤 마셨다. 그러나 요즘은 다르다. 운동 중에 마시는 물은 땀이나 호흡으로 빠져나간 체액을 보충, 체온 및 심박수를 감소시키고 지구력과 열 내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물을 한꺼번에 마시면 위의 불쾌감, 출렁거림, 구토 등이 나타나 운동을 계속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운동 중에는 약 15분 마다 100~200㎖ 정도씩 마시도록 한다.소금기를 보충한답시고 운동선수에게 소금 한 움큼을 먹이고 물을 마시게 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 또한 위험한 일. 농도 진한 소금물을 마시면 체액이 장내로 빠져나가 탈수를 더 악화시킨다. 식수가 떨어져 목이 아무리 말라도 바닷물은 먹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
물론 식염을 보충하는 것이 체내 전해질 균형 파괴로 인한 장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최우선적으로 고려해햐 할 사항은 신속한 수분의 보충이다.
운동 중에는 맹물을 마시는 것 보다 약간의 전해질과 포도당이 함유된 스포츠 음료가 좋다. Na+ 전해질의 장내 흡수가 빠르고, 체내의 전해질 균형을 맞춰주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이 여름철에 운동하는 이유는 체중이 잘 줄어 들기 때문. 그러나 이때의 체중 감량은 체지방을 태운 결과가 아니라 주로 탈수로 인한 것이다. 체중이 쭉 빠졌다고 반가워 할일이 아니란 얘기.
체중이 3% 이상 빠질 경우 혈장량은 약 10%정도 감소된다. 동시에 체내 수분 및 전해질 감소로 인한 열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때는 정상 체중 회복 때가지 운동을 중단해야 한다. 체내 수분 손실 정도를 알기 위해 운동 전후 체중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李鍾均기자 healthcare@imaeil.com
도움말 이원재교수(계명대 스포츠산업대학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