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개혁에 대한 노.정 합의로 금융 구조조정의 급류를 타게된 것은 우량은행들도 다를 바 없게 됐다.
금융지주회사 도입이 합의됨으로써 한빛.조흥.외환은행 등 공적 자금 투입은행을 지주회사로 묶어 통합하는 방안이 10월쯤으로 가시화된 것과 마찬가지다.
국민.주택은행 등 대형 우량은행은 물론 신한.하나.한미은행 등 이른바 후발 우량은행들도 은행간 자율합병이란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됐다.
우량은행 구조조정을 예고한 합의조항은 "금융개혁을 시장원리에 따라 추진한다"는 것.
이르면 연내, 늦어도 예금자 부분보장제도가 시행되는 내년에 접어들면 이들 은행간 합병논의는 직접적 행동으로 구체화될 전망이다.
특히 정부가 합병은행에는 후순위채 매입, 세제지원 등 상당한 혜택을 주겠다는 방침이어서 합병 가능성을 증폭시켰다.
사실 이들은 지금까지도 물밑 논의를 진행해왔었다. 국민-주택은행간 합병설, 후발 우량은행에 대한 국민.주택은행의 '은밀한 유혹'설 등 그동안 난무했던 합병설은 이를 간접 증명하는 것이다.
이번 노.정 합의는 이같은 논의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된 것이다. 특히 은행들이 자율성을 갖고 추진할 수 있게된 것은 노.정 합의가 가져다 준 성과다.
시장논리에 의한 자율합병이 원칙이라는 정부 공언과는 달리 지금까지는 정부 의사에 상당 부분 좌우됐었기 때문이다.
국민.주택은행이 공적 자금 투입은행과의 합병을 검토한다는 얘기가 한때 흘러나온 적이 있었다. 이에 대해 은행권에선 부실을 일부러 맡겠다는 은행이 있을 리 만무한 만큼 '우량+불량은행' 합병안을 들고 나온 정부의 입김 탓이라는 추측이 분분했다.
그러나 이젠 적어도 이처럼 황당한 경우를 염려할 필요는 없게 됐다. 시장논리에 따른 합병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다.
특히 은행 경영에 있어 외부 간섭이나 청탁.압력 등을 배제해 투명성과 책임경영을 철저히 보장하며 정책결정이나 집행 등을 문서화하겠다는 약속을 함으로써 정부 의사에 따라 은행이 일희일비하는 일은 줄어들게 됐다.
이제 어떻게 시장 요구에 의한 개혁을 해낼지는 공을 넘겨받은 은행들의 몫이 됐다.
금융권에선 이미 전산부문을 제휴하기로 한 하나.한미은행의 합병 시나리오가 하반기 구체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신한생명, 신한증권, 신한캐피탈 등 제2금융권을 거느리고 있는 신한은행의 지주회사화도 속도를 붙여나갈 것으로 보인다.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역시 국민.주택은행의 움직임. 국내 최대규모를 겨냥한 이들의 합병작업이 언제 어떻게 엄청난 대형뉴스로 터져나올지 모르게 됐다.
李相勳기자 azzz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