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증시 동향따라 수사범위 조절

검찰이 주가조작 등 혐의로 상장기업 100여개사에 대한 내.수사에 착수함에 따라 앞으로의 수사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내.수사 선상에 오른 기업의 주가급락은 물론 증시 전체에 미칠 파장이 엄청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번 수사가 금감원으로부터 주가변동 자료를 넘겨받아 시세조종 세력을 적발하는 통상적인 수준의 주가조작 수사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매년 금감원에서 100건 이상의 주식 위법거래 사실확인 요청이 들어온다"며 "개별기업의 위법성 여부에 대해 일상적으로 수사하는 것일 뿐 대대적인 작전세력 소탕전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검찰 주변에서는 증시 작전세력을 주시하는 검찰의 움직임이 이미 오래전부터 감지돼온 점에 비춰 이번 수사가 '기획수사'의 성격도 띠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사실 검찰은 지난 연말 코스닥 작전세력에 대한 일제수사에 돌입하기 위해 수사일정과 대상 등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했으나 당시 코스닥 시장이 바닥세를 향해 급전직하하는 바람에 수사를 유보했었다.

지난 4.13 총선 직후에도 한때 수사착수를 고려했으나 주가가 곤두박질치는 바람에 또다시 연기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점에 비춰볼 때 검찰은 그동안 증시동향을 유심히 체크하면서 '때'를 기다려 왔고 마침내 행동을 개시할 시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검찰은 내.수사 대상 100여개 기업 중 일부 유명기업의 경우 작전세력이 개입해 조직적으로 시세조종을 벌인 혐의에 대해 상당 부분 증거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검찰의 고민 역시 여전히 남아있다.

전반적으로 하향세에 머물고 있는 코스닥 시장을 정면 겨냥할 경우 전체 주가가 급락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고 그동안 기울여온 정부의 부양노력이 일거에 물거품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찰은 앞으로 거래소와 코스닥 양대 증시의 전체 동향을 주시하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하게 고려해 수사의 완급을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