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마늘 팔아주기와 함께 의성 등지의 토종 한지형 마늘 홍보에 발벗고 나섰다.
최근 의성 등지 한지형 마늘이 본격 출하되고 있으나 한·중 마늘협상에 따른 수입물량증대 우려로 가격하락이 지속돼 지난 해 접당 상품기준 1만~1만2천원 하던 마늘 가격이 현재 7~8천원으로 뚝 떨어진 상태.
이에 따라 도는 소비촉진을 위해 21일 오후 도청에서 농협경북지역본부와 공동으로 마늘 팔아주기 행사를 가졌다.
특히 이번 행사엔 소비자들이 토종 마늘을 다른 품종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 소개 및 시식회, 전시회 등도 함께 열렸다.
마늘은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구분되며 한지형 마늘은 의성, 예천 마늘 등이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외견으로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한지형은 마늘 쪽수가 6~8개정도이지만 난지형은 10~13개 정도라는 것.
한지형 마늘은 국내 마늘 생산량의 20%, 유통량의 10%정도에 불과하며 경북이 전국 한지형 마늘의 50%를 생산하는 최대 주산지. 특히 토종 한지형 마늘은 고유의 향과 알싸한 맛이 있으며 매운 맛과 단 맛 등 다섯가지 맛이 고루 함유돼 있고 마늘 즙액의 농도가 진해 적은 양으로 양념효과가 매우 높다. 또 김치 맛이 좋고 잘 시지 않아 맛을 오래 유지하고 알리인 성분이 많아 암예방 효과 등도 탁월하다. 이 때문에 난지형보다 가격이 두배 정도 높지만 품질때문에 고급 음식점 등은 한지형 마늘을 선호하고 있고 실제 의성마늘의 최대 소비지는 서울과 전주 등 식문화가 발달한 지역들이다.
한편 경북도는 토종 한지형 마늘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현행 마늘 최저보장가격(1천200원/kg)을 품종간(한·난지형)생산비를 고려, 차별 적용해 줄 것을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도는 또 토종 한지형 마늘의 브랜드화된 공동출하 확대 및 지속 홍보 등으로 적극 차별화해 나가기로 했다.
裵洪珞기자 bh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