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한나라당은 26일 오전 국회에서 총재단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열어 김 대통령까지 직접 겨냥, 현 정권과 여당을 강력 성토했다.
특히 "이번 날치기는 김 대통령의 직접 지시가 없이는 이뤄질 수 없다"고 단정짓고 대통령의 사과를 관철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주조를 이뤘다. 장광근 수석부대변인도 "모든 결정을 김 대통령 한 사람에게 의존하는 민주당의 의사결정 구조상 날치기는 대통령의 결심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결국 날치기에 대한 김 대통령의 직접 사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압박 전략일 수도 있다.
이회창 총재는 25일 기자회견 등을 통해 "김대중 대통령과 여당이 국민과 야당에 대해 집단 테러를 가했다"는 등 대여 비난수위를 한껏 고조시키면서 김 대통령의 사과가 없을 경우엔 장외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당내에선 또한 민주당이 이회창 총재와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간의 관계개선 움직임에 위기감을 느껴 서둘러 날치기를 시도했으며 결국 정계개편 음모로까지 연결돼 있다는 비난까지 제기됐다.
그러나 이것은 표면적인 분위기다. 내면적으로는 다른 기류도 감지되고 있다. 우선 한나라당도 강경 일변도로 치달을 수만은 없는 처지다. 무엇보다 약사법 개정안은 물론 추경예산안 등 민생 현안들이 처리되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선 여당과 마찬가지로 비난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때문에 당내에선 17석이나 되는 자민련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교섭단체 완화에 대해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 있다.
徐奉大기자 jinyoo@imaeil.com
◇민주당=민주당은 25일 밤 이만섭 국회의장이 날치기 사회를 않겠다고 선언하고 김종호 부의장마저 한나라당의원들에게 잡혀서 빠져나오지 못하자 사실상 강행처리를 포기하고 의원총회를 열어 자동폐회를 현실로 받아들였다.
민주당은 이에 따라 국회법개정안은 물론 시급한 민생현안을 한 건도 처리하지 못한 채 국회파행의 책임만 뒤집어쓰게 됐다.
이는 정균환 원내총무 등 민주당 지도부가 한나라당과 자민련간의 '이면합의설'을 믿고 한나라당이 적당한 선에서 국회운영에 협조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정 총무는 "우리는 한나라당이 막는 척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며 거듭 한나라당과 자민련 간의 이면합의설을 주장했다.
민주당은 이어 한나라당에 국회파행의 책임을 떠넘겼다. 서영훈 대표는 기자회견을 통해 "수적 우위를 믿고 적법한 민주절차를 원천봉쇄한 한나라당에 (국회파행의)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자민련의 의도에 끌려다니는 바람에 집권당이 무기력한 모습만 노출했다는 비판이 만만찮아 후유증도 예상된다.
26일 오전 열린 의총에서는 "당지도부가 상황을 오판한 것 아니냐"며 성토의 소리가 적지 않았다. 당내에서는 운영위에서 국회법 개정안을 날치기 처리한 후에도 자민련 김종호 부의장에 대한 대책이 전무했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사회권을 김 부의장에게 넘겨주더라도 본회의를 열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당분간 여야간에 냉각기를 갖고 시급한 민생현안처리를 위한 8월국회를 소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徐明秀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