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9~31일 서울에서 열리는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북측에 군사 직통전화 보다는 동영상과 팩스 등을 교환할 수 있는 '핫 라인' 설치를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27일 "북한은 지난 91년 기본합의서 체결 당시 남측이 제의한 핫라인 설치에 거부감을 표시해 결국 직통전화 설치에 합의했다"면서 "그러나 남측은 이번 회담에서 정보화 사회 흐름에 걸맞은 핫 라인 설치를 제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북고위급 회담에도 참가한 바 있는 이 관계자는 "남북한이 이러한 핫라인 설치에 합의할 경우 일반 전화와 같은 단순 의사소통 기능과 함께 동영상, 팩스 등을 상호 교환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제의할 핫 라인 설치는 서울과 평양을 동축 케이블로 연결해 전화 기능과 함께 동영상 및 문서전달 기능을 함께 갖춘 송.수신 체계를 의미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정부는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를 맞아 남북한이 정보화 추세에 공동 보조를 취해나가자는 차원에서 이같은 제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평양을 연결하는 남북 직통전화는 △남북회담 지원용 18회선 △남북경제회담용 1회선 △남북적십자 중앙기관간 2회선 등 21회선을 확보하고 있으나 이 전화는 상시 가동되지 않는 예비선이다.
남북한 사이 현재 상시 가동되는 직통전화는 적십자간 2회선, 북한군 판문점대표부와 유엔군 군사정전위원회 일직장교간 2회선 뿐 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