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임시국회 어떻게 될까

여당이 내달 시행예정인 약사법개정안 등의 처리를 이유로 오는 31일부터 임시국회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한나라당은 날치기 처리의 무효선언과 한나라당과 자민련간의 밀약설 유포에 대한 선(先)사과를 요구, 정국대치가 계속되고 있다.그러나 민주당이 국회 파행과 관련된 김대중 대통령의 유감 표명 다음날인 28일부터 정균환 총무 등이 나서 사과할 뜻을 시사한 동시에 3당3역회의를 제의하는 등 대화 모색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게다가 한나라당 역시 약사법의 경우 이미 합의해준 사안인 만큼 처리에 응하지 않는 데 따른 부담감을 갖고 있는데다 국회를 계속 파행으로 몰아가기에는 비난여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다. 한나라당이 27일 김 대통령의 유감표명을 민주당의 공식 논평이 나오기도 전에 서둘러 "사과한 것"으로 해석, 정국 전환을 모색한 데서도 이같은 기류가 엿보인다.

때문에 31일 임시국회의 경우 일단 열릴 가능성이 높으며 한나라당 측도 이를 저지하기엔 명분이 약하다. 때문에 한나라당은 국회법 개정안을 처리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면 협조할 수 있다는 입장을 신중히 검토중이며 29일 총무접촉을 통해 제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같은 약속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한나라당은 약사법 개정안에 대해 실력저지하기는 어려운 입장인 만큼 등원을 거부하는 등의 소극적인 거부의사를 표시하는 쪽으로 정리할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이후의 국회일정이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은 국회정상화의 조건이 수용되지않을 경우 실력저지하겠다는 것이고 민주당도 추경안과 금융지주회사법안 등 나머지 현안들에 대해선 야당과의 조율을 거쳐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민주당은 이날부터 야당에 대해 협상 재개를 계속 요구하고 있다.그러나 한나라당으로선 선사과 등의 조건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국회로 완전 복귀하기엔 명분이 약한 만큼 응하기가 어렵다.

결국 국회정상화 여부는 여당이 이같은 야당 쪽의 조건을 어떤 식으로 수용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당분간은 협상보다는 냉각기를 거쳐 내달 초부터 본격적인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徐奉大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