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사도 수입하자" 의료소비자 격앙

의사들의 파업 상황이 악화되자 시민들 사이에선 "앞으로도 이런 일이 재발하지못하도록 근본적으로 제도를 바꾸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제도 전환 요구가 나오고, "의사들만 파업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의료소비자들이 단결해야 한다"는 응징 목소리까지 높아지고 있다.

> "집단 인질극"... 시민단체 분노

11일 매일신문사로 전화를 건 한 환자 보호자는 "고추.마늘 값은 조금만 올라가도 곧바로 수입해 가격을 내려 우리 농민들을 쥐어짜면서, 저렇게 방자한 파업

의사들은 왜 가만 두느냐"며 의사 수입 개방을 요구했다. 그는 "의료 공급이 저들에 의해 독점됨으로써 이같은 일이 발생할 여지를 진작부터 만들어 뒀던 것아니냐"며, 종전에는 독재정권이어서 그런 행동을 억제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그럴 힘이 없는 민주정권이 들어 선 만큼 제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만들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의료계 사정을 좀 안다는 한 독자는 "그동안 의사회를 법정 단체로 만들어 온갖정부 권한까지 위임함으로써 오늘날 같은 사태의 씨를 뿌렸다"며, 공정거래 위반 혐의가 이번에 뚜렷해진 만큼 이 단체를 불법화해 강제 해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한 시민은 "의사만 파업할 수 있는게 아니라는 점을 가르쳐야 한다"고주장했다. 이에따라 전기 공급업무를 맡고 있는 사람들은 그 나름대로 단결해파업 의사에 대한 전기 공급을 끊고, 수도물 공급 종사자들 역시 뭉쳐 파업 의사에겐 물 공급을 끊어야 의사들이 자신들의 업무 역시 공공성이 있다는 기본적 사실이나마 깨달을 수 있을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의사들이 사회적으로의무도 지고 있음을 망각하고 있다고 한탄했다.

의성군의 농민이라는 한 시민 역시 "이제 농부들도 힘을 합쳐 우리에게 적대적인 사람들에겐 쌀과 식료품을 팔지 말아야 하겠다"고 분개해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